취임 30일 기자간담회
지원사업 서류 간소화
내부 행정 혁신 구상도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취임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중소기업 통합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밝혔다.
한 장관은 28일 취임 30일을 맞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한 기자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한 장관은 취임 이후 중소기업, 벤처·스타트업, 소상공인 분야별로 10회씩 총 30회의 정책 현장 투어를 이어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120여명이 넘는 전문가와 기업인들을 만났다. 한 장관은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만 알 수 있는 강력한 단어들이 있다"며 "현장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다시금 신발 끈을 조여 매야겠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특히 민간 디지털 혁신 전문가로 활약해 온 경험을 토대로 데이터 기반 혁신 방향을 강조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신청 서류를 대폭 간소화하고 행정정보 연계를 강화해 공공기관 발급 서류를 자동 제출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AI·빅데이터에 기반한 기술 평가 모델을 활용해 심사하고 중소기업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지원사업 공고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검색 페이지를 직접 열어보니 지원사업만 160개가 넘어, 어디에 있는지 찾기가 어렵더라"라며 "지원사업에서 떨어졌을 경우 이유가 무엇인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부 행정 혁신 방안도 제시했다. 중기부는 기업정보, 내부 보고서 등 각종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통합 DB를 구축하고 이를 생성형 AI와 결합해 단순 반복 업무 자동화 등 행정업무를 효율화할 예정이다. 정책 이행실적을 관리해 정책 환류에도 활용한다. 중소기업·창업벤처·소상공인·일반 국민 등 대상별 필요로 하는 정책이 다른 만큼 맞춤형 정책 정보도 제공한다.
중소벤처 분야 새정부 경제성장전략도 소개했다. 먼저 중기부는 7대 피지컬 AI, 15대 초혁신경제 프로젝트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모태펀드 및 퇴직연금 등을 통해 벤처투자 40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또 제조업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보급을 확대하고 K-뷰티 등 유망 산업을 집중적으로 양성해 수출을 확대한다.
아울러 소상공인 금융 부담을 완화하고 노란우산공제 한도 상향으로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는 작업도 추진된다. 상권 르네상스 2.0 추진을 통해 상권 규모와 유형에 따라 맞춤형 골목상권을 육성할 예정이다. 납품 대금 연동제 실효성 확보를 위해 연동 대상을 확대하고, 한국형 증거개시제도를 도입하는 등 상생 기업환경 조성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