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카지키'가 베트남·태국을 강타하며 일어난 홍수와 산사태로 최소 9명이 목숨을 잃고, 베트남에서만 160만명이 정전 피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간) AP·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25일 밤 베트남 북부·중부의 응에안성·하띤성에 최대 시속 150km의 돌풍을 동반한 카지키가 상륙, 20cm 가까운 폭우가 쏟아졌다.
이로 인해 곳곳에서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 7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34명이 부상했다고 베트남 정부가 밝혔다.
또 나무 2만1000여 그루가 쓰러졌고 815㎢ 이상의 논이 물에 잠겨 벼농사를 망친 것으로 파악됐다. 수도 하노이에도 폭우가 쏟아져 가옥 1만여채가 침수 등 피해를 보았고 도로 곳곳이 물에 잠겼다.
이후 카지키는 태국·라오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대성 폭풍으로 약화했다. 하지만 태국 북서부 치앙마이주에서 카지키가 몰고 온 폭우로 산사태가 발생, 2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고 현지 매체 방콕포스트가 전했다.
전문가들은 동남아를 세계에서 가장 기후 변화에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꼽으면서 태풍·폭염 같은 극한 기후 현상의 심화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MO)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 평균 기온은 1991∼2020년 평균 기온보다 1.04도 높아 관측 사상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해수면 온도가 이례적으로 높게 치솟으면서 태풍이 더 많이 생겨나고 위력도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 로언대학 조교수 안드라 가너 박사는 "우리는 이 행성을 데우고 있고, 해수면 온도 역시 높이고 있다"며 "따뜻하게 데워진 바닷물은 허리케인의 핵심 에너지 공급원"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