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조선소 선박건조능력
연간 20척까지 확대 계획
한화해운서 유조선 10척 등 수주
한미 조선협력 이후 첫 성과
한화그룹이 미국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달러(7조원)를 투자해 선박건조능력을 연간 20척까지 크게 늘린다. 한화해운(한화시핑)은 같은 날 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과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을 발주했다. 한미 조선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가 시작된 이후 필리조선소가 수주한 첫 사례다. 조선소 현대화와 미국 내 선박 수주 확대로 미국 조선산업 르네상스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화는 26일(현지시간)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이 같은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투자재원은 한미 통상 협상에서 합의된 1500억달러 규모 조선 산업 협력 펀드다. 이 자금을 활용해 추가 독과 안벽 확충, 12만평 규모의 블록 생산기지 신설 등을 추진해 연간 1~1.5척 수준인 건조 능력을 20척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LNG 운반선, 함정 블록 제작 등으로 건조 품목도 다양화한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미국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부터 한화필리조선소 데이비드 김 대표, 조현 외교부 장관,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정관 산업부장관, 토드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 한화 제공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환영사에서 "한미 동맹을 공고히 한 조선산업 협력의 첫발을 내디뎠다"며 "한화는 미국 조선업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새로운 투자와 기회를 창출하고 중추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화해운(한화시핑)은 이날 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이는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한 첫 실질적 수주 계약이다. 첫 선박은 2029년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발주는 미국 내 해운법 개정 움직임에 대응해 자국 건조 물량을 확대하려는 전략적 의미도 담겼다.
업계에서는 이번 투자가 미국 조선산업 재건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미국 조선업이 수십 년간 쇠퇴해온 상황에서 한국 기업이 대규모 자본과 기술을 투입해 사실상 '미국 조선업 재건'을 이끌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 입장에선 현지 조선소를 확보함으로써 미국 해양·방위산업 시장에 직접 교두보를 마련하는 효과도 크다. 한미 양국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서 이번 투자에 전략적 상징성이 부여된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시의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이재명 대통령, 조쉬 샤피로(Josh Shapiro) 펜실베니아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영사를 하고 있다. 한화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한화는 지난해 말 한화오션(40%)과 한화시스템(60%)이 1억달러를 들여 필리조선소를 인수했다. 미국 내 상선·군함 건조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삼아 한미 조선 협력의 거점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 대규모 투자와 발주를 계기로 필리조선소는 마스가 프로젝트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전날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의 업무협약(MOU)에 이어 한화의 50억달러 투자까지 더해지면서 우리나라 조선 3대 기업은 모두 미국 조선업 부흥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한미 조선 협력은 단순한 발주나 투자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며 "산업·안보 동맹의 기반을 공유하는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