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전한길 "한동훈 품고 전한길 버린다는 김문수, 사과하고 정계 은퇴해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민의힘 전당대회, 장동혁 당 대표 당선
전한길 "웃을 때 아냐, 尹 인권 유린 중"
김문수에 "내 뒤에 윤석열·김건희 있어"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김문수 후보의 당 대표 낙선에 대해 "전한길을 버리는 건 곧 윤석열을 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씨는 2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전한길 뉴스'에서 전당대회 결선 투표 결과를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장동혁 후보는 총 22만302표를 얻어 김 후보(21만7935표)를 2367표 차로 제치고 당 대표로 당선됐다.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아시아경제DB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전씨는 장 후보의 선출 소식에 "축하합니다. 겨우 이겼네, 겨우 이겼어"라며 손뼉을 쳤다. 다만 "지금 웃을 일이 없지 않나. 윤석열 전 대통령은 어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표현처럼 숙청된 상태로 너무나 인권 유린당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 후보의 패배에 대해서는 "전략적 실패"라고 평가했다. 그는 "너무 우유부단하고 눈치를 보는 기회주의적이었다"며 "당 대표 출마 초반 지지율이 40%대가 나왔다. 지명도도 높고 저절로 당선될 것이라 생각했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두 후보를 보수 우파 유튜버 토론회에 초청했는데 언론이 '전한길 면접 보러 가느냐'라고 비판했다"며 "장 후보는 약속대로 나오고 김 후보는 취소했다. 실망스러웠다. 이건 약속이지 않나. KBS라면 약속 잡아놓고 취소하겠느냐. 유튜버들을 무시한 것"이라고 했다.


또 김 후보가 결선 토론 중 '내년 지방선거 때 전한길 대신 한동훈을 공천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보수 우파의 역린을 건드렸다"고 주장했다. 전씨는 "한동훈은 윤 전 대통령의 파면과 조기 대선과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끌어낸 원흉이다. 한동훈을 몰아내려고 했는데 한동훈을 공천하겠다고 답하면 안 됐다"며 "그 장면을 보며 '루비콘강을 건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가 '한동훈을 품고 전한길을 버린다'고 한 건 나에게 사과해야 한다"며 "전한길 뒤에는 윤석열·김건희가 있다. 전한길을 버리는 건 곧 윤석열을 버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를 향해 "정계 은퇴하라. 그동안 국가를 위해 애쓰셨으니 노후를 편안하게 보내시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 대표(왼쪽)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선출된 뒤 경쟁했던 김문수 후보와 함께 당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 대표(왼쪽)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선출된 뒤 경쟁했던 김문수 후보와 함께 당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원본보기 아이콘

강성 반탄파(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로 꼽히는 장동혁 신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수락 연설에서 "앞으로 바른길이라면 굽히지 않고 전진하겠다"며 "모든 우파 시민과 연대해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는 데 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저를 당 대표로 선택해 주신 것이 혁신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무거운 짐을 저 혼자 질 순 없다. 국민의힘을 혁신하고 이기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해달라"고 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승복 연설에서 "장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 어떤 계파도 없이 오직 이재명 독재 정권을 물리치고 대한민국을 위대하게 하는 길 하나만 남아있다는 각오로 잘해주시리라 믿는다"며 "큰 짐을 대신 짊어진 장 대표가 여러 가지로 크게 성공하고 앞으로 정치적 발전과 나라를 구하는 훌륭한 리더십을 보여줄 것이라 믿는다. 저도 뒤에서 묵묵하게 잘 도와드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