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통영시 욕지도 앞바다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둘러싸고 남해안 어업인들이 엇갈린 목소리를 내고 있다.
26일 창원시 성산구의 수협중앙회 경남지역본부 앞은 해상풍력 찬성과 반대 측 어업인 단체가 각각 몰려와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남 연안어업 해상풍력 대책위원회는 "해상풍력은 단순한 전력 생산을 넘어 지역사회와 상생할 기회"라며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찬성하고 나섰다.
이들 대책위는 "일부 수협 단체와 환경단체가 반대라는 명목으로 여론을 호도하면서 실제 어업인 목소리가 왜곡되거나 배제되는 일이 생기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어업인과 주민에게 실질적 수익을 보장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사업자와 이해 당사자 간 갈등을 해소하고 해상풍력과 어촌사회가 상생하는 기반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해상풍력 경남어업인대책위원회와 사단법인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은 "어민의 생존권을 짓밟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무분별한 해상풍력 사업에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황금어장이라 불리는 욕지 바다는 수많은 해양 생명이 살아가는 소중한 생태계이자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귀중한 자산"이라며 "이 바다가 2.5GW 규모 해상풍력사업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무분별한 사업에 반대하는 것이지 재생에너지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니다"라며 "진정한 에너지 전환은 공존과 상생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대 측 어민들은 멸치 떼와 각종 포식 어류가 다양하게 유입되는 욕지도 해상에 해상풍력발전기가 설치되면 소음, 진동, 전자파 영향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조업 가능 구역이 줄어, 어민 생존권이 위협받을 것이라 우려했다.
기후 위기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하나, 어민 생업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조업 구역이 아닌 다른 곳으로 발전소 건설 위치를 옮겨 달라고 호소했다.
각 회견 후 단체들은 수협중앙회 경남본부 회의실에서 이영호 대통령실 해양수산비서관과의 정책간담회를 통해 찬반 의견을 냈다.
특히 반대 측 어업인들은 ▲해상풍력특별법 관련 어민 생존권 및 의견 수렴 절차 보완 ▲아이에스동서 등 욕지 해상풍력사업 인허가 과정 재검토 ▲해상풍력단지 건설 입지 재조정 ▲해상풍력단지 건설 관련 사전영향평가 결과 공개 및 생태조사단 구성 ▲해상풍력으로 인한 어업인 생계 유지 대책 ▲의사결정 권한 있는 상생협의체 구성 ▲어민 갈등 해결 및 공동체 보존 지원 ▲어민 생존권 보호 위한 해양수산부 역할 강화 등도 요구했다.
이 자리에서 이 비서관은 "현재 개인이 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나, 이야기를 충분히 듣고 인허가 과정을 살피는 등 전체적으로 검토해 어민 의견이 반영되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또 "정부, 어민, 에너지 회사 간 상생협의체를 만드는 데 힘쓰겠다"고도 했다.
해상풍력은 수십 50m를 넘지 않고 평균 초속 6m 이상의 바람이 균일하게 부는 곳이어야 가능하다.
욕지도는 그 입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이다.
현재 욕지도 인근 바다에는 발전 허가를 받은 뷔나에너지(384㎿), 현대건설(360㎿), 영동발전(9.9㎿)과 사업 신청 또는 재심의 중인 아이에스동서(340㎿), 한국남동발전(400㎿) 등 총 5건의 해상풍력발전소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들 기업은 2032년까지 통영 욕지도 왼쪽 아래부터 좌사리도까지 해상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게 된다.
총 계획면적은 146㎢가량으로 서울 여의도 50배, 축구장 2만 3000개 면적에 달한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