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착오 지적한 중간조사에 “의혹만 키워”
블랙박스 등 원본 데이터 공개 요구
“국토부 영향 탓 독립성 부족…국회 나서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항공철도조사위원회(항철위) 조사에 불신을 드러내며 국회 차원의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지난 1월 18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족과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전남도와 광주시, 무안군이 주관하는 합동 추모식이 엄수됐다. 송보현 기자
12·29 무안 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의회와 법률지원단은 26일 '국회 진상규명 활동 촉구 의견서'를 통해 "참사 8개월이 지났지만 항철위는 소극적 조사와 자료 미공개로 유가족들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지난달 발표된 일부 조사 결과도 납득하기 어려운 내용으로 많은 의혹을 증폭시켰다"고 지적했다.
특히 항철위가 "조종사가 오른쪽 엔진을 끄려다 왼쪽 엔진을 착오로 끈 것이 사고 원인"이라고 발표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참사는 단순히 하나의 요인이 아닌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종합적으로 조사돼야 한다"며 "최종 판단이 아님에도 마치 최종 결론인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비판했다.
또 "오른쪽 엔진 전력 공급 장치가 꺼진 시점은 여전히 의혹 투성이고, 인위적으로 차단됐는지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스프링 방식 스위치는 올렸다 내려도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기 때문에 스위치 상태만으로 조종사가 직접 끈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반론도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블랙박스 기록과 음성 녹음 등 원본 데이터 공개를 촉구하며 "엔진과 기체 결함이 없다는 주장도 원본 데이터 공개로만 검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항철위는 국토부의 절대적 영향 아래 있어 구조적으로 독립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진상규명을 위해 국회의 조사 활동이 긴급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