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1조 1038억원 규모의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경남도는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소상공인 지원과 내수진작, 집중호우 피해 긴급 복구 등 민생 현안을 중심으로 이번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또 실제 집행률이 낮은 사업이나 행사성, 소모성 경비는 과감히 삭감했다고 설명했다.
시급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제외하고 세출 구조조정으로 재원을 마련해 필요한 분야에 집중적으로 배분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본예산과 이번 추경까지 모두 포함한 경남도의 총예산 규모는 14조 5226억원이다.
이번 예산안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국비 8586억원·도비 475억원 등 9061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162억원),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423억원), 경남형 대중교통비 K-패스 지원(45억원) 등이 포함됐다.
또 지난 7월 집중호우와 관련해 재해대책(66억원), 농경지 상습 침수 예방 배수 개선(38억원), 지방하천 둑 높이기(6억원), 도로시설물 정비(21억원), 도 지정 유산·전통 사찰 긴급 보수(5억원) 등도 포함됐다.
위험절개지 도로시설물 정비 등 지방도 정비사업(21억원), 도 지정 유산 및 전통 사찰 긴급 보수(5억원), 산사태 피해복구(7억원)에도 예산이 배정됐다.
특히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본 산청군·하동군 등의 하천 준설, 농가 긴급 지원을 위한 예비비 21억원을 편성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추경은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복구를 위해 불가피하고 꼭 필요한 사업에만 집중 편성한 예산"이라며 "앞으로도 국비 확보와 재정 효율화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오는 9월 9일부터 열리는 제426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에서 심의를 거쳐 9월 18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