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스벅·이케아 '짝퉁' 매장까지…외국인이 바라본 북한 평양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스타벅스 리저브 따라한 미래 리저브 운영

북한에 스타벅스나 이케아를 모방한 매장이 운영되고 있는 것은 물론 북한 주민들이 서방과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하고 있다는 외국인들의 증언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북한을 방문한 러시아 관광객, 스웨덴 마라톤 선수, 중국 학생 등 방문객 세 명의 영상을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다. NYT는 해당 영상에 대해 "고립된 이 나라가 외부 세계의 소비주의를 어떻게 모방하는지에 대한 희귀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일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워터파크의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지난달 1일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워터파크의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케이 매장 판매 상품과 동일 상품도

평양에서 어학연수 중인 중국 학생은 이 도시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곳 중 하나가 가구, 주방용품, 식료품을 판매하는 다층 쇼핑몰인 '랑랑 애국 금강관'이라고 전했다. 자신과 동료 중국 학생들은 그곳을 '북한판 이케아'라고 불렀는데, 매장 구조와 제품이 마치 스웨덴 가구 회사 이케아를 그대로 옮겨온 것 같았기 때문이다. 해당 제품이 가짜인지 아니면 밀수된 진품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램프와 갓 등 일부 품목은 이케아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품명과 포장이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쇼핑몰에는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매장인 스타벅스 리저브를 본떠 만든 카페도 있는데, 북한에서는 이 카페를 '미래 리저브'라고 부른다. 스타벅스 리저브 로고의 별을 알파벳 'M'을 스타일리시하게 변형한 디자인으로 바꾼 것이 특징이다. 이 학생은 보통 물건값을 미국 달러로 지불했으며, 평양의 물가가 비싼 편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래 리저브에서 커피 3잔에 25달러(약 3만4000원)를 지불한 적이 있다"고 회상했다.

북러소년친선야영에 참가한 러시아학생소년야영단이 지난달 29일 북한에서 놀이기구를 타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러소년친선야영에 참가한 러시아학생소년야영단이 지난달 29일 북한에서 놀이기구를 타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노점상도 현금보다 QR 결제 선호

지난 4월 평양 마라톤대회에 참가했던 스웨덴 출신의 홍콩 거주자 요한 닐란더(53)는 수도 평양에서의 결제는 대부분 휴대전화로 이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생수와 주스를 파는 작은 노점상들조차 현금보다 큐알(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결제를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또 "북한 주민의 휴대폰에도 동영상, 문자 메시지, 북한식 우버, 쇼핑 등 전 세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앱이 있다"라고도 했다.


이어 NYT는 최근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를 방문한 러시아 여성 다리아 주브코다(35)의 경험을 전했다. 이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외국인 관광객 중 한 명인 주브코바는 이번 여행이 이전에 가본 해변 여행과 비슷했지만, 몇 가지 특이한 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수의사인 주브코바는 북한이 오랫동안 방문하고 싶었던 나라라 일주일 여행에 약 1400달러(약 194만원)를 지불했다. 그는 자신을 리조트까지 데려다준 기차부터 호텔 객실, 그리고 해변 편의시설까지 모든 것이 새것처럼 보였다면서 "마치 그림처럼 꾸며진 곳 같았다"고 말했다.


러시아인들은 제트 스키를 타고 신나게 놀고 미국, 일본, 중국산 맥주를 곁들여 해변에서 바비큐를 즐겼다고 한다. 또 러시아에서 맞는 사이즈를 찾을 수 없어서 구입하지 못했던 어그(Ugg) 부츠를 사기 위해 쇼핑까지 했다.

NYT는 이러한 북한의 양상에 대해 "국제 제재의 영향을 완화하고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자본주의 적들을 모방하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서방의 제재로 인해 북한에서 외국 브랜드가 북한에 사치품을 판매하거나 합작 사업을 여는 것이 금지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