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기자간담회…'에이전틱웍스' 출시
기업 데이터·시스템과 연동해 자동화
업무 효율성·생산성 높여…해외시장 공략
LG CNS가 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지원해온 경험과 노하우를 동원해 에이전틱 AI를 만들어 운영할 수 있는 구독형 플랫폼 '에이전틱웍스'를 출시했다. LG그룹 계열사부터 시작해 외부 고객사들, 이후에는 해외 시장까지 공략할 계획이다. 에이전틱웍스는 기업의 데이터와 시스템과 연동해 인사, 재무 업무 등을 돕는 '똑똑한 AI 동료'를 직원들이 직접 만들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플랫폼이다.

현신균 LG CNS 사장이 2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LG CNS 제공
LG CNS는 2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에이전틱웍스를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현신규 LG CNS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기업에 필요한 것은 단편적인 AI 에이전트 도입이 아니라, 전사적 관점에서 AI 에이전트와 기업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운영하는 체계"라며 "기업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의 'AI 에이전트'는 특정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지능형 시스템이었다면, '에이전틱 AI'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목표에 맞게 실행하며 여러 에이전트를 조율할 수도 있는 자율형 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에이전틱웍스로 '인사 특화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개발할 경우 대규모 채용 시 인사 시스템에 제출된 수만 건의 자기소개서, 인적성검사 데이터와 시스템상의 기존 인사 문서도 알아서 분석해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며, 지원자별 면접 질문까지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에이전틱웍스는 데이터 전처리를 돕는 '지식저장소', 에이전트와 AI 툴을 제작하는 '빌더', 실시간 모니터링과 장애 분석 및 대응이 가능한 '허브' 등 총 6개 모듈로 구성됐다. 이중 기업이 필요한 기능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임은영 LG CNS GenAI사업담당은 "AI 기술 전문성이 없는 현업뿐만이 아니라 AI 전문가도 쉽게 에이전트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며 "빠르게 진화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언제든지 변경해 성능을 비교하고 기존에 만들어진 AI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LG AI 연구원이 개발한 '엑사원', 글로벌 AI 선도기업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추론형 거대언어모델(LLM) 등 다양한 고성능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LG CNS가 500여개의 AI 전환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산업별 전문성을 강화했다. 에이전틱웍스는 구독형 상품으로,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기업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LG그룹 계열사를 시작으로 대기업 중심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해외 시장 진출도 노리고 있다.
아울러 LG CNS는 일정, 회의, 메일, 통번역 등 임직원의 공통업무 혁신을 위한 '에이엑스씽크'도 선보였다. 에이엑스씽크의 주요 기능은 중요 메일, 일정 및 처리해야 할 일 등을 요약해 음성 안내하는 데일리 브리핑, 브리핑 후 결재·승인 등 필요한 업무 처리, 메일 요약 후 회의 일정 자동 등록, 회의 실시간 통번역 후 회의록 작성·요약·공유 및 해야 할 일 등록, 사내외 지식검색 기반 자동 보고서 작성 등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회의록 기반으로 다음 주 출장 품의 작성하고, 주간보고에 추가해줘"라고 자연어로 요청하면, 에이전틱 AI가 스스로 결재·자료관리 담당 에이전트에 각각 지시하고 기업 시스템과 연계해 업무를 수행한다.
LG디스플레이는 에이엑스씽크를 통해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을 이전 대비 약 10% 향상시켰으며, 외부 유사 솔루션 도입 대비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다. 향후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승찬 LG CNS 디지털AX담당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만으로 사용자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는 없다"며 "고객이 어려워하는 부분에 긍정적인 AI 활용 경험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궁극적으로 일하는 문화를 변화시키는 긴 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에이전트 AI 서비스가 모든 업무를 총괄하고 자율적으로 실행하는 AX 워크 환경을 실현하고자 한다"고 했다.
현 사장은 "LG CNS는 AI 시대에 발맞춰 기업들이 AI를 가장 쉽고 정확하게 적용을 할 수 있는 플랫폼과 서비스를 출시해 대한민국의 경제, 그 다음에 전 세계의 경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