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효행·병점·동탄 등…'인구 50만' 기준 충족 15년만에
정명근 시장 "권역별 맞춤 행정으로 30분 생활권 열 것"
경기도 화성시에 내년 2월부터 4개 일반구(區)가 설치된다. 2010년 일반구 설치 기준인 인구 50만명을 넘어선 지 15년 만이다.
화성시는 행정안전부가 일반구 설치를 승인함에 따라 내년 2월부터 ▲만세 ▲효행 ▲병점 ▲동탄 등 생활권역으로 구분한 4개 일반구를 설치한다고 24일 밝혔다.
일반구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위 행정기관인 시에 소속되어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행정기구다.
새로 설치되는 일반구는 생활권을 기준으로 관할 읍·면·동을 구분했다. 만세구에는 우정·향남·남양읍, 마도·송산·서신·팔탄·장안·양감면, 새솔동 등 서부 생활권이 포함된다. 중부생활권인 효행구에는 봉담읍, 비봉·매송·정남면, 기배동이 속한다. 병점구는 진안·병점1·병점2·반월·화산동을, 동탄구는 동탄1~9동을 각각 관할 구역으로 정했다.
일반구 출범으로 시민들의 행정서비스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화성시는 면적이 서울의 1.4배인 844㎢에 달하다 보니 시청 접근성이 떨어져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어 왔다.
일반구가 설치되면 생활권 내 30분 내에서 세무, 인·허가, 복지, 민원 등 주요 행정업무를 구청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과 생활밀착형 예산, 현장 중심 민원서비스 강화로 더 빠르고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이번 일반구 설치는 시민과 가까운 곳에서 맞춤형 행정을 펼칠 수 있는 새로운 화성 시대의 출발점"이라며 "더 따뜻하고 다채로운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행정 체제 개편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다음 달까지 청사 리모델링 설계를 마치고 연내에 구 설치와 위임사무 관련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다. 이어 조직·인사 확정과 위임사무 편성 등 행정체계를 정비한 후 내년 1월에는 부서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 노선 재편, 민원 종합안내시스템 구축 등 시민 편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 내년 2월 4개 구청이 차질 없이 출범하도록 준비할 방침이다.
구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행정도 추진한다. 구별로 ▲만세구는 '풍요로운 자연과 산업자원이 어우러진 융복합 혁신도시' ▲효행구는 '모두가 누리는 교육 중심의 자연 친화적 정주도시'▲병점구는 '역사와 첨단기술이 만나는 사람 중심의 성장도시' ▲동탄구는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며 4차산업을 선도하는 미래산업 경제도시'를 비전으로 설정했다.
한편 화성시는 2001년 시 승격 이후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며 2010년에는 인구 50만 명을 돌파해 일반구 설치 요건을 충족했다. 하지만 이후 행정 체제 개편이 무산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지속돼 왔다.
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일반구 설치를 시정의 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섰다. 지방행정연구원, 한국행정학회 등의 연구용역을 거쳐 권역별 시민설명회와 여론조사, 구 명칭 공모·심의위원회, 정책광장 투표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시의회 의결을 거쳐 4개 구 신설안을 마련, 지난해 11월 행안부에 건의서를 제출했다.
정 시장은 "구청 개청을 통해 30분 생활권 시대를 여는 것은 물론 생활권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문화·산업·생활 전반의 매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정두환 기자 dhjung6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