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가 급속히 확산 중인 덴마크가 내년부터 편지 배달을 전면 중단한다.
영국 BBC방송 등은 덴마크 국영 우편국 '포스트노르드(PostNord)'가 올해 말로 400년 역사를 가진 편지 배달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보도했다.
포스트노르드는 동시에 대규모 구조조정도 단행, 적자 부문에서 약 2200명의 인력을 감축하고 소포 물류 확대를 위해 700명을 새로 고용할 계획이다.
이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우편물 급감이 있다. 덴마크 우편물은 2000년 연간 14억통에 달했으나, 지난해 1억1000만 통으로 줄어 20여년 만에 92%나 감소했다. 우편 분류 시설도 한 곳만 남았으며, 덴마크 전역에 설치됐던 빨간 우체통 1500개는 철거됐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디지털 행정이 가장 앞선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OECD가 2023년 발표한 디지털 정부 평가에서 덴마크는 한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4위에서 불과 4년 만에 두 계단 상승한 순위다.
전자 문서 사용 확대와 온라인 행정 서비스 정착이 빠르게 진행되는 한편, 지난해부터 우편 시장이 민간에 개방되고 면세 제도가 폐지되면서 우편요금이 급등한 것도 영향을 줬다. 현재 편지 한 통을 보내려면 29덴마크크로네(약 6300원)를 내야 하며, 앞으로는 민간 배송 업체가 개인 간 편지 배달을 맡게 된다.
우편 감소는 덴마크만의 문제가 아니며, 유럽 각국에서 유사한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 우편의 자리는 줄어들고, 대신 전자문서와 택배 물류 중심의 산업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대 후반 기준 독일과 스위스의 우편물 처리량은 2000년대 초반보다 40% 줄었고, 미국은 46%, 영국 등은 50~70% 감소했다.
이에 독일 도이체포스트는 올해 8000개 일자리를 감축했고, 500년 역사의 영국 로열메일도 비용 절감을 위해 배달 횟수 축소 방침을 내놨다. 한국 역시 우편사업 적자의 확대로 올해만 2000억원대 손실이 예상된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