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중증·고난도 치료역량 높여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보건복지부는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에 중환자·중증질환자를 위한 치료시설 및 장비비 총 759억원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고난도 필수의료 진료를 제공하면서 권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기획·조정하는 거점병원으로, 2019년부터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지정해 왔다. 현재 17개 모든 시·도에 권역책임의료기관이 지정돼 권역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 중이다.
복지부는 그간 두 차례 공모를 걸쳐 권역책임의료기관 현장 수요를 기반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사업계획서를 접수했으며, 이를 토대로 전문가 평가를 거쳐 중증·고난도 치료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장비 비용을 선별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지원이 결정된 시설·장비는 지역 주민을 위한 중증·고난도 필수의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강원대병원의 경우 첨단 로봇수술기를 도입해 서울 대형병원의 전문의를 초빙했고, 전남대병원은 중환자실 음압격리병상을 확충해 고위험 감염병 환자 치료 능력을 제고하기로 했다. 또 다수의 병원이 수술실 확충, 중환자실 인프라를 확대해 권역 내 중증·응급환자의 최종치료를 제공하는 등 지역 주민의 치료가능 사망률 격차를 낮추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다음 달부터 3차 공모를 거쳐 아직 기관 편성 예산을 채우지 못한 광주·전남 등 일부 시·도를 중심으로 사업계획서를 접수·평가한 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질환 최종치료 역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사업으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의 핵심 과제다. 특히, 시·도와 권역 책임의료기관 간 협력을 통해 추진되는 대규모 재정투자 사업으로써 지역·필수의료 문제 해결에 대한 지자체의 책임성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복지부는 이번 사업과 함께 관계부처와 협의해 ▲지역 국립대병원 특화 연구·개발(R&D) 지원 ▲거점 국립의대 전임교원 증원 ▲총인건비 등 의료 정합성 낮은 규제 개선 등 국립대병원 중심의 권역책임의료기관 임상·연구·교육 발전도 추진하고 있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약화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립대병원 등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최종 치료 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며 "강화된 임상 역량을 기반으로 지역필수의료 협력체계를 구축해 심화된 지역의료 격차를 조속히 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