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일본 하네다 공항 도착…"과거사 문제는 장기적 시각에서 논의"
재일 동포 간담회로 순방 일정 시작
이시바 총리 만나 소인수·확대회담 개최…저녁엔 만찬 행사 참석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해나가자는 것이 저의 신념이자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원칙"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23일 오전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 공개된 아사히·마이니치·닛케이·산케이 신문과의 공동 서면 인터뷰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자"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올해가 한일수교 60주년인 점을 언급하며 "'60갑자' 한 주기를 돌았다. 한일관계에는 대립의 측면과 협력의 측면, 공존하면서 용인하는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로에게 유익한 바를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면서 "어떤 나쁜 측면 때문에 유익한 면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님과 함께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 안보, 경제 등 분야에서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겠다고 밝혔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하며 진심으로 위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방일이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과거사 문제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더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인간적인 깊은 고려 속에 논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에 너무 매몰돼서는 안 된다"면서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일은 최대한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과 '셔틀 외교' 복원을 출발점으로 교류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재차 밝혔다. 이 대통령은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양자 채널뿐 아니라 한미일, 한일중, 아세안+3,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다자·소다자 채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동아시아를 포함한 태평양 연안국의 경제협력기구를 확고하게 만들어 나가는 일도 이제는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논의를 의미한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일본산 수산물 금지 조치 해제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내놨고 일본의 관심 분야인 '납북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깊이 공감하고 있다. 인도주의 차원에서 꼭 해결돼야 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북한과 관련된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라도 대화 복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공항을 출발해 일본 하네다공항에 도착했다. 이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재일 동포들을 만나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이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만나 소인수회담과 확대회담을 열고, 친교 만찬과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도쿄(일본)=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