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폐업 위기로 내몰 것" vs "낙수효과 기대도"
미국계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의 익산점과 관련해 소상공인과 지역단체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코스트코 익산 입점 저지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2일 코스트코 코리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스트코 익산점 입점 추진 중단을 강력히 요구했다.
비대위는 이날 "코스트코 익산점 입점이 익산뿐만 아니라 전북지역 전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극한의 위기로 내몰 것"이라며, "코스트코의 막대한 자본과 압도적인 매출 능력이 지역 상권을 뿌리째 흔들고 수많은 소상공인을 생존의 벼랑 끝으로 밀어 넣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코스트코는 익산시 유동인구 유입을 유발하고 100에서 2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주장하지만, 비상대책위는 경제효과에 대한 현실적인 검증은 전무하고 오히려 지역의 소규모 점포들이 대규모로 폐업한다고 반박했다.
더불어 코스트코가 벌어들인 이익을 해외 본사로 송금하는 구조를 문제 삼으며, 익산에 코스트코가 들어설 경우 매년 수십억 원의 지역 자본이 해외로 유출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형마트 '낙수효과' 기대 목소리도
반면 일부 지역 단체는 입점을 지지하고 있다. 익산 시민사회단체, 원예농업협동조합 등은 지역경제 활성화, 농산물 판로 확대를 기대하며 코스트코 입점을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 침체가 장기화하며 대형마트의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다.
한편, 코스트코코리아는 전남 순천(2012년), 전북 전주·완주(2017년) 등 호남 지역에 진출하려다 지역 소상공인의 반대로 실패했다. 현재 코스트코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충청, 영남권을 중심으로 20개 국내 매장을 운영 중이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