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6일까지 교향악·성악 등 22회 공연
베토벤·브람스 등 '낭만시대' 명곡 조명
마포문화재단이 주최·주관하는 클래식음악 축제 'M 클래식 축제'가 22일 달빛이 내려앉은 도심 속 공원에서 즐기는 낭만적인 야외 콘서트 '마포새빛문화숲 음악회'로 개막한다.
마포문화재단은 오는 12월6일까지 100여일 동안 교향악, 실내악, 성악 등 22개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M클래식 축제는 기초 지자체 차원의 전례 없는 대규모 순수예술 축제로 마포문화재단은 이 축제를 통해 지난 9년간 총 580여 회 공연을 선보였다. 8800여 명의 음악가가 참여했고 70만명의 관객이 공연을 함께했다. 10주년을 맞은 올해 축제는 클래식 음악의 최전성기였던 '낭만시대(Romantic Age)' 베토벤, 브람스, 슈베르트, 쇼팽, 드보르자크 등의 작품을 집중 조명한다.
마포 새빛문화숲 잔디마당 특설무대에서 열리는 개막 공연 마포새빛문화숲 음악회는 전석 무료로 23일까지 2회 공연한다. 오페라 아리아, 뮤지컬 넘버, 한국 가곡 등 다양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22일에는 마포문화재단 상주음악가 바리톤 박주성과 소프라노 노희재가, 23일에는 바리톤 고성현, 소프라노 최정원과 안혜수, 테너 이정원, 피아니스트 이경민이 무대에 오른다. 지휘자 김광현이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한다.
베토벤, 드보르자크, 슈베르트의 교향곡을 연주하는 '심포니 시리즈'는 9월24~25일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열린다. 2020년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지휘자로 데뷔한 권민석이 이번 축제를 위해 특별히 조직된 M 클래식 페스티벌 오케스트라를 지휘한다.
24일 공연은 베토벤의 작품으로만 채운다. '코리올란 서곡',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교향곡 5번 '운명'을 연주한다. 피아니스트 정지원이 황제를 협연한다.
25일에는 첫 곡으로 첼리스트 이경준이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을 협연하고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미완성'과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를 연주한다.
'실내악 시리즈'라는 제목으로 실내악 공연도 6회 마련된다. 낭만시대 작곡가들에게 깊은 영감을 준 바로크 시대 음악까지 아우르는 무대가 마련될 예정이다.
9월26일 '바흐 스페셜' 무대에서는 첼리스트 양성원과 피아니스트 엔리코 파체가 '첼로 모음곡 2번' 등 바흐의 걸작들을 연주한다. 양성원은 고전 악기인 '비올라 다 감바'로 바로크 음악의 진수를 들려줄 예정이다.
10월2일 '음악의 헌정'에서는 바로크 음악 스페셜리스트 앙상블 일 가르델리노가 바흐의 '음악의 헌정'을 중심으로 바로크 음악의 매력을 선보인다. 10월18일 '시네마 콘서트'에서는 배우 이상엽의 해설로 영화 속 명장면을 수놓은 클래식 명곡을 감상한다. 비올리스트 이신규와 피아니스트 케이 김경은이 함께한다.
11월11일 실내악 공연은 피아니스트 백혜선 뉴잉글랜드 음악원 교수의 독주회로 꾸며진다. 베토벤의 '고별', 서주리의 '봄', 슈만의 '환상곡' 등을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음악으로 풀어낸다.
11월14일 '낭만의 중심에서'는 바이올리니스트 강동석 등이 베토벤, 풀랑크, 브람스의 실내악 명곡을 연주한다.
실내악 시리즈의 대미를 장식할 여섯 번째 공연 '비르투오소들의 조우'는 11월19일에 열린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 1위를 수상한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과 피아니스트 양성원, 첼리스트 송영훈이 쇼팽 '녹턴 2번', 베토벤 피아노 3중주 '유령' 등을 들려준다.
성악가 독주회 무대도 '노래의 날개 위에'라는 제목으로 4회 마련된다. 테너 김민석(10월29일), 소프라노 박혜상(11월5일), 소프라노 임선혜(11월12일), 바리톤 박주성(12월6일)이 무대를 꾸민다.
이외에도 10월22일 방송인이자 피아니스트 다니엘 린데만과 바리톤 우주호의 특별한 무대 '두 남자 이야기'가 펼쳐진다. 비제의 '투우사의 노래'부터 오페라 아리아와 한국 가곡까지 대중적인 곡들을 들려준다.
축제 기간 동안 구룡근린공원, 양화진역사공원 등 마포구의 대표 명소에서는 클래식을 좀더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무료 야외 공연 'M 스테이지'가 꾸준히 마련된다. 제10회 M 클래식 축제의 자세한 정보는 마포문화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