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재용 회장도 입었대" 입소문에 매출 4배 껑충…해외브랜드 韓 '직진출 러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아크테릭스, 넬슨스포츠 인수…한국 직진출 선언
뉴발란스·골드윈도 직진출
고프코어 트렌드 확산…"제품력·경험 중시 소비"

국내 패션 업계가 경기 불황과 이상 기후로 이중고를 겪고있는 가운데 해외 스포츠 브랜드들은 오히려 한국 시장에 직접 뛰어들고 있다. 한국 소비자들이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적극적인 소비층으로 부상한 데다, 소셜미디어 등를 통해 전 세계적인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면서다.


2019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산행 열차에서 빨간 패딩 '파이어비 AR 파카'를 입어 화제가 되었다. 아크테릭스, 아시아경제DB

2019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산행 열차에서 빨간 패딩 '파이어비 AR 파카'를 입어 화제가 되었다. 아크테릭스,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27일 패션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프리미엄 아웃도어 브랜드 아크테릭스는 지난 20일 한국 독점 유통을 맡아온 넬슨스포츠의 아크테릭스 사업을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아크테릭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고,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DTC(Direct-to-Consumer)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DTC 사업은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고 브랜드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재용 패딩 유명세…입 소문 타고 실적 고공행진

아크테릭스는 '아웃도어계의 에르메스'로 불릴 만큼 고가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브랜드다. 국내에서는 2019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산행 열차에서 빨간 패딩 '파이어비 AR 파카'를 입은 모습이 포착되면서 '이재용 패딩'으로 큰 화제를 모았다. 당시 해당 패딩은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국내 판매량이 급증했다.



"이재용 회장도 입었대" 입소문에 매출 4배 껑충…해외브랜드 韓 '직진출 러시' 원본보기 아이콘


그 결과, 아크테릭스의 한국 유통을 맡아 온 넬슨스포츠의 매출액은 2021년 501억원에서 지난해 1611억원까지 4년새 3배가량 증가했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113억원에서 402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넬슨스포츠 매출에서 아크테릭스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80% 가량이다. 아크테릭스 관계자는 "한국은 활발한 아웃도어 커뮤니티와 아크테릭스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를 보이는 시장으로, DTC로의 전환은 자연스러운 전략적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뉴발란스도 최근 한국 직진출을 선언했다. 뉴발란스의 한국 내 유통은 2008년부터 이랜드월드가 맡고 있는데, 도입 초기 연매출 250억원 규모였던 뉴발란스는 지난해 국내 매출은 1조원을 넘어서면서 브랜드 본사가 한국 법인을 설립을 결정한 것이다.

다만 이랜드는 2026년까지 뉴발란드 브랜드를 운영하는 만큼, 뉴발란스 본사는 2027년부터 한국 시장에 직접 뛰어들 전망이다. 이랜드월드의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은 5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는데, 스포츠 부문에서는 뉴발란스와 뉴발란스 키즈의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13%, 20%가량 증가하며 호실적을 이끌었다.


일본 프리미엄 아웃도어 브랜드 '골드윈(Goldwin)'도 다음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국내 첫 직영 단독 매장을 연다. 골드윈은 1992년 영원무역홀딩스와 합작해 골드윈코리아(현 영원아웃도어)를 설립하고 국내 시장에 진출했는데, 지난해 7월 영원아웃도어와 올해 1월 1일부로 라이선스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 골드윈은 지난해 11월 성수동 팝업스토어을 통해 직진출 효과를 가늠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글로벌 브랜드 사이에서 한국 소비자들은 적극적인 수요층으로 분류된다. 해외 소비자들보다 비교적 빠른 속도로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관련 제품을 빠르게 트렌드로 확산시키는 경향이 있다. 성수동이나 압구정 도산대로 등 최신 패션 및 뷰티 트렌트를 접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도 장점이다. 패션 업계 관계자는 "해외 본사 입장에서는 한국이 단순한 판매 시장을 넘어 글로벌 전략의 전초기지와 같은 성격을 가진다"며 "젊은 세대의 소비 확산력이 강하고 트렌드 전파력이 큰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