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4~27일 中특사단 방중…李대통령 메시지 전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박병석 전 국회의장, 김태년·박정 국회의원 등으로 구성…시진핑 주석과 만남은 없을 듯
중국을 마지막으로 특사 파견 종료…미·일 특사는 추진 안 해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과 한미 정상회담 기간 중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한다. 중국 특사단은 박병석 전 국회의장을 단장으로 김태년·박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재단 이사장 등 4인으로 구성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2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민주 대한민국 복귀를 알리고 새 정부 국정철학 및 대외정책 설명하기 위해 그간 주요국에 통 특사단을 파견해왔다"면서 "이번에는 오는 24일부터 27일까지 대통령 특사단이 중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이어 강 대변인은 "박 전 국회의장 등 특사단은 주요 인사와 면담하고 이 대통령의 메시지를 중국 측에 전달할 계획"이라며 "특사단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지속 추진하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의지를 전달하는 한편 양국 문화교류, 인적교류 등 다방면의 교류 협력 방안을 폭넓게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 친서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직접 전달할 계기는 없을 전망이다. 강 대변인은 "한·중·일, 한·일·중 관계에 있어 중요성이 있기 때문에 특사단을 파견하기로 했다"면서 "대통령 친서는 마련이 돼 있으나 시 주석과 만남은 양측 일정이 잘 맞지 않아 없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번 중국 특사단 방중으로 대통령 특사 일정은 종료된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그간 12개국에 특사를 파견했다"면서 "미국과 일본 특사단의 경우 이 대통령이 직접 방문해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만큼 추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과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23일 출국한다. 이 대통령은 23일 오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오는 25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처음 대면한다.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한일, 한·미·일 공조 강화를 골자로 하는 경제·안보 협력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통행식 외교로 갈수록 부담이 커지고 있는 통상·안보 문제가 회담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두 정상회담 모두 경제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는 만큼 대통령실 외교·안보라인과 관계 부처는 미국 정부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