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포르쉐, 배터리 자회사 청산 수순..."공장 매각 추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독일 스포츠카업체 포르쉐가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셀포스를 사실상 청산하는 구조조정에 나선다.


포르쉐 공장. EPA 연합뉴스

포르쉐 공장. EPA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20일(현지시간) 슈피겔 등 독일 현지 매체는 포르쉐가 셀포스 직원 286명 가운데 연구개발 인력을 제외한 약 200명을 해고하기로 하고 노동청에 구조조정 계획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독일 남서부 키르헨텔린스푸르트에 있는 셀포스 공장은 매각을 추진 중이며, BMW 측과 드론을 만드는 방산업체들이 해당 공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슈피겔은 전했다.

포르쉐는 2021년 전기차 배터리 자체 생산을 목표로 독일 배터리 생산업체 커스텀셀과 합작해 셀포스를 설립한 뒤, 2023년 지분을 전량 인수하는 등 배터리 생산 확대에 나섰다. 그러나 수십억 유로의 투입에도 양산 가능한 배터리를 개발하지 못해 손실만 떠안게 됐다.


현지 매체들은 연방 정부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정부가 셀포스 설립 당시 지원한 5700만유로(약 930억원)의 보조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포르쉐는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80%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이미 포기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전체의 4분의 1에 그쳤다. 올리버 블루메 포르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월 "가장 중요한 시장인 중국에서 럭셔리 전기차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다"며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실제 지난해 포르쉐는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 급감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중국 이외 시장에선 판매량이 늘었지만, 이 여파로 글로벌 판매량이 3% 감소했다.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산 전기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예컨대 지난해 샤오미가 처음 선보인 전기차 'SU7'는 포르쉐의 첫 순수 전기차 '타이칸'과 닮은 외관과 비슷한 수준의 출력 및 제동력을 갖췄으나, 중국 현지에서 타이칸의 절반 가격에 판매되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전기차 수요가 당초 예상에 못 미치고, 중국 업체들과 경쟁에서 밀리자 전기차 전환 로드맵을 수정하고 있다. 아우디는 내년부터 내연기관 차 새 모델 출시를 중단한다는 기존 계획을 공식 철회했다. 업계는 2035년부터 신규 내연기관 차를 판매를 완전히 금지하는 유럽연합(EU) 규제도 수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