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책연구원, 전국 의대교수 대상 설문조사
교육업무 평가·보상 부재…"의학교육 질 저하 우려"
국내 의과대학 교수들이 주당 평균 74시간 이상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며 절반 이상이 탈진 상태에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기초의학 분야 교수 인력의 감소로 교육·연구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의학교육의 질 저하도 우려되고 있다.
21일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료정책연구원이 최근 전국 40개 의과대학에 근무하는 교수·부교수·조교수를 설문(159명)·면접(52명) 조사한 결과, 의대 교수들이 실제 직업 활동에 쓰는 시간은 주당 평균 74시간으로 스스로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시간(58시간)보다 약 16시간 더 많았다.
직업 활동에 쓰는 시간으로는 연구(23%) 비중이 가장 컸고 이어 진료(22%), 교육(19%), 소속 기관 내 보직(10%), 교육행정(8%), 연구행정(7%), 소속 기관 외 보직(학회 임원 등·6%), 자기 계발·연수(5%) 등의 순이었다. 임상과 행정 업무 비중이 높아 교육과 연구에 충분히 전념하기 어렵다는 게 연구원 측의 분석이다.
반면 의대 교수들이 이상적이라고 인식하는 시간 비중은 연구(29%), 교육(22%), 진료(14%), 자기 계발·연수(13%), 소속 기관 외 보직(8%), 교육행정·소속기관 내 보직(각 5%), 연구행정(4%) 등으로 연구는 물론 교육, 자기 계발의 비중이 더 높았다.
전반적인 근무 만족도는 보통(39%), 만족(35%), 불만족(26%) 순이었다. 또 번아웃(탈진) 척도를 활용한 자기 평가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59%가 현재 탈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에 응한 교수들은 교육 업무에 대한 공식적 평가가 미흡하고 교육 활동을 돕는 실질적 보상 및 지원 시스템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연구원은 "현재 국내 의과대학 교수업적 평가 체계는 연구 성과 중심으로 과도하게 편중돼 있어 교육 활동과 진료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다"며 "이런 문제는 의학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육 활동에 대한 평가·보상 체계 마련, 행정 및 평가 관련 업무 간소화, 일과 삶의 균형 회복을 위한 조직 차원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