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되면 열흘 내에 사망할 수 있어
60년간 167건 감염 사례에 4명만 생존
미국서도 매년 10명가량 감염
'뇌 먹는 아메바'로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가 수돗물에서 발견돼 호주 당국이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감염 시 10일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 미생물이 상수도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호주 ABC 등 현지 언론은 이달 초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에서 서쪽으로 약 750㎞ 떨어진 소도시 오거셀라와 샤를빌에 공급되는 마을 용수에서 파울러자유아메바가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퀸즐랜드 보건부의 의뢰로 퀸즐랜드 대학에서 진행한 종합 수질 검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보건당국은 파울러자유아메바 확산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두 도시에서 추가 물 샘플 수집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뇌 먹는 아메바'로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가 수돗물에서 발견돼 호주 당국이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파울러자유아메바는 단세포 원생동물로, 섭씨 25~40도의 따뜻한 담수에서 주로 증식한다. 강, 연못, 호수, 온천 등에 서식하며 관리되지 않은 수영장이나 수돗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하지만 사람 사이에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문제는 이 아메바가 인체에 침투하면 아메바성 뇌척수막염(PAM)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감염 초기에는 두통, 정신 혼미, 후각 이상과 상기도 증상이 나타나며, 이후 심한 두통과 발열, 구토, 목 경직으로 이어진다. 보통 증상 발현 닷새째에 혼수상태에 빠지고 대부분 일주일에서 열흘 이내에 사망한다.
감염되면 치료제 없어 생존 가능성 낮아
무엇보다 큰 문제는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제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감염될 경우 생존 가능성이 극히 낮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1962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에서 167건의 PAM 사례가 보고됐으나 생존자는 단 4명에 불과했다. 미생물은 호주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에서도 매년 10명가량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한국에서는 2022년 태국에 4개월간 체류했던 50대 남성이 귀국 후 발병해 사망한 사례가 있었다.
과학 매체 뉴아틀라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미생물 중 하나가 상수도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관련 위험성에 퀸즐랜드 보건당국은 주민들에게 목욕이나 세안 시 코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코 클립을 착용하고, 수영장이나 온천에서는 머리를 항상 물 밖으로 내밀며, 코 세척 시 반드시 끓인 물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나아가 호주 보건당국은 추가 검사 결과에 따라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주민들에게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