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태원참사 유족, 소방관 사망에 '애통'…"트라우마 치유 정부가 도와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트라우마 방치한 전 정부 책임"
"이제라도 적극적 조치 필요"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추모 메시지와 꽃이 놓여 있다. 김현민 기자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추모 메시지와 꽃이 놓여 있다.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태원 참사 현장에 출동한 이후 우울증을 앓다가 실종됐던 소방대원이 숨진 채 발견되자 참사 유가족 단체가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조치를 요구했다. 또 이를 방치한 지난 정부의 책임이 크다는 점도 지적했다.


20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추모 논평을 통해 "오늘의 비극은 참사 현장에서 희생자를 구조하기 위해 헌신했던 소방관, 경찰관을 포함한 모든 구조자가 져야 했던 심리적·정서적 트라우마를 방치하고 치유와 회복을 도외시했던 지난 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라도 생존피해자, 지역 상인과 주민 등을 포함해 구조자들과 목격자를 폭넓게 지원하고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하도록 돕는 데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12시 30분께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인근 교각 아래서 소방대원 A씨(30)가 숨져 있는 것을 경찰관이 발견했다. A씨의 시신은 부패가 진행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지난 10일 가족과 친구들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메모를 남긴 뒤 연락이 두절됐다. A씨는 당일 오전 2시 30분께 남인천요금소를 빠져나온 뒤 우측 갓길에 차를 정차한 후 사라졌고, 휴대전화의 마지막 신호는 남동구 서창동 모 아파트 근처에서 잡혔다. 이후 소방 당국과 경찰은 그동안 주변 폐쇄회로(CC)TV를 확인하고 주변 하천과 산 등지를 수색했으나 A씨의 행적을 찾지 못했다가 실종 열흘 만에 발견했다. A씨는 2022년 이태원 참사 사건 현장에 지원을 나간 뒤 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받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