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석유화학업계, NCC 최대 25% 감축 합의…정부 "先 자구 노력, 後 지원"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0개 기업 연말까지 사업재편안 제출
정부 금융·세제·R&D 맞춤 지원 검토
여수·서산 등 산업위기지역 추가 검토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구조적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나프타분해시설(NCC) 생산 능력을 최대 25% 줄이고,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에 착수한다. 정부는 기업이 자구 노력을 담은 사업 재편안을 먼저 마련해야만 금융·세제·연구개발(R&D) 등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정부는 20일 서울정부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석유화학산업 구조개편 3대 방향으로 ▲과잉 설비 감축 및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을 확정했다. 아울러 정부 지원 3대 원칙으로는 ▲3개 주요 석유화학단지(여수·울산·대산) 대상 동시 개편 추진 ▲충분한 자구 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 재편안 마련 ▲정부의 종합 지원 패키지 제공을 제시했다.

여천NCC 사업장 전경. 아시아경제DB

여천NCC 사업장 전경.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는 "구조적 불황을 버티는 방식으로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며 '선 자구 노력, 후 정부 지원' 원칙을 거듭 강조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백브리핑에서 "무임승차 기업에는 단호히 대응하겠다"며 "자구노력과 사업재편 정도에 따라 지원이 차등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오후 NCC를 보유한 10개 석유화학 기업들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자율 협약식'을 열고 총 270만~370만t 규모의 NCC를 감축하겠다는 공동 목표를 발표한다. 이는 국내 전체 NCC 생산능력 1470만t의 18~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번 목표치는 한국석유화학협회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의뢰해 진행한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도출됐다.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은 연말까지 각사의 사업재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업들이 제출한 계획의 타당성과 자구노력 정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금융, 세제, R&D, 규제 완화 등을 묶은 맞춤형 지원 패키지를 제공할 방침이다. 단, 사업 재편을 미루며 타 기업의 감산 효과만을 기대하는 무임승차 기업에는 지원을 배제할 계획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추진방향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2025.8.20 조용준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추진방향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2025.8.20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구윤철 부총리는 회의에서 "기업과 대주주가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토대로 구속력 있는 사업 재편 및 경쟁력 강화 계획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며 "연말이 아니라 당장 다음 달이라도 계획을 제출한다는 각오로 속도감 있게 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또한 구조조정이 지역경제와 고용에 미칠 파장을 완화하기 위해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이미 지정했으며, 서산·대산 지역의 추가 지정도 검토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도 여수를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고용유지지원금과 생활안정자금 융자 등을 집행할 예정이다.


이번 자율협약은 정부 주도가 아닌 업계가 자율적으로 구조 전환 의지를 표명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업계는 범용제품 위주의 '버티기 전략'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제품과 친환경 전환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부 관계자는 "석유화학업계 전체의 공동 노력 없이는 구조개편이 성공할 수 없다"며 "이번 협약을 출발점으로 삼아 경쟁력 강화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