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우크라에 미군 투입 없다"…'유럽 파병·美 방공 지원' 부상(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폭스뉴스 인터뷰서 미군 투입 가능성 일축
"공중 지원 논의할 수 있다"
미·유럽·우크라 3자 위원회, 안전보장안 논의
3자 회담 장소로 부다페스트 거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국가안보팀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 보장을 위해 유럽과의 협조를 지시하면서도 미군 투입은 없을 것이란 입장을 재확인했다. 대신 공중 지원 가능성을 시사했다. 유럽이 병력을 우크라이나에 주둔시키고 미국은 첨단 방공 체계를 지원하는 형태의 안전 보장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국경 방어를 위한 미군 투입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나는 대통령이고 (이를) 보장할 수 있다"며 "난 그저 사람들이 죽는 일을 막으려 노력하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럽이 지상군을 배치하려 한다"며 미국은 이를 지원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공중 지원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보유한 것과 같은 장비를 가진 나라는 없다. 유럽도 확실히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공중 지원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백악관도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분명히 밝혔듯 미군은 우크라이나에 주둔하지 않을 것이지만, 우리는 유럽 동맹국들의 조정을 돕거나 다른 수단으로 안전 보장을 제공할 수 있다"며 "대통령이 국가안보팀에 유럽과 협력할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와 관련해 미 언론 악시오스는 이날 미국·유럽·우크라이나 3자 위원회가 구성됐다고 보도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 대행이 위원회를 이끌고, 우크라이나 및 유럽 국가들의 국가안보보좌관들이 참여해 주말까지 집중적인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며 불가 입장을 못 박았다. 미국은 대신 나토 헌장 제5조와 유사한 집단방위식 안전 보장을 대안으로 검토 중이다. 이 조항은 회원국 한 곳이 공격받으면 전체 동맹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공동 대응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미뤄 볼 때 유럽 주요국이 우크라이나에 병력을 주둔시키고 미국은 방공 등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의 안전 보장 방안이 유력해 보인다. 미국의 공중 지원은 전투기, 방공 시스템, 정찰 드론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외부에 항공기를 배치해 유럽군을 보호하거나, 우크라이나 내 유럽군이 공격을 받을 경우 전투기를 투입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 정보 제공도 검토될 수 있다.


다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내 나토 회원국 병력 주둔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협상 과정에서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 보장을 수용했다고 밝혔지만, 러시아 측은 "우크라이나에 나토 회원국 참여로 군이 배치되는 어떤 시나리오도 단호히 거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러·우 평화협정 체결의 최대 난제인 영토 교환을 논의하기도 전에 협상이 난항에 빠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푸틴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평화 협상을 중재하고 있다. 그는 15일 미·러 정상회담에 이어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 및 유럽 정상들과 잇달아 회담하고 향후 러·우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 중이다. 영토 문제 등에서 합의가 이뤄질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참여하는 3자 회담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푸틴 대통령이 잘해주길 바라고 젤렌스키 대통령도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며 "만약 (대화가) 잘된다면 내가 3자 회담에 참여해 일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3자 회담 장소로는 헝가리 부다페스트가 거론된다.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백악관이 부다페스트를 유력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1994년 '부다페스트 각서' 체결 장소란 점에서 우크라이나가 기피할 가능성이 크다. 당시 우크라이나는 부다페스트에서 미국·러시아·영국과 핵무기를 포기하는 대신 안전 보장을 약속받았으나 러시아의 2014년, 2022년 침공으로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레빗 대변인은 3자 회담 장소와 관련해 "확인하거나 부인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