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민의힘 창원시의원단 "액화수소플랜트 감사 결과 밝혀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남 창원특례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단이 액화수소플랜트 사업 관련 창원시의 감사 결과 발표를 촉구했다.


시의원단은 19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 집행부는 액화수소 사업에 대해 어떠한 감사를 시행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라"고 요구했다.

경남 창원특례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단이 액화수소플랜트 사업 관련 창원시의 감사 결과 발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경남 창원특례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단이 액화수소플랜트 사업 관련 창원시의 감사 결과 발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들은 "액화수소사업은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를 통해 잘잘못이 명백히 드러났지만 시 집행부는 수개월이 지나도록 특정감사 처분서조차 발표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감사를 했다면 그 결과를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공개하고 하지 않았다면 그 사유를 명확히 밝혀라"며 "감사를 중지시켰다면 그 사유와 책임자를 공개하라"고 했다.


의원들은 "지금이라도 전담팀을 꾸려 특정감사를 실시하고 시민 혈세가 왜 낭비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준공 지연 사유를 시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하고 창원산업진흥원에 책임을 전가하는 잘못된 관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주단은 계약서대로 지시 사항을 이행한 후 대출금 회수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창원시 관계자는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특정감사를 진행 중"이라며 "사업 규모가 큰 만큼 더 세심하게 살펴봐야 하고 결과에 오류가 없어야 하기에 감사가 언제 끝날지 확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두산에너빌리티 경남 창원공장 내 국내 최초 수소액화 플랜트가 준공됐다. 경남도청 제공

두산에너빌리티 경남 창원공장 내 국내 최초 수소액화 플랜트가 준공됐다. 경남도청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창원 액화수소플랜트사업은 2019년 전국 최초로 추진된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시설로, 창원산업진흥원과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산업단지공단이 공동 출자해 2020년 4월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하이창원'이 시설 운영을 맡았다.


하이창원은 사업비 1050억원 중 710억원을 프로젝트 파이낸싱(PF)로 조달해 2021년 7월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 내 하루 5t 규모의 액화수소를 생산하는 설비를 착공해 2023년 8월 준공했다.


당초 플랜트에선 하루 5t, 연간 최대 1825t의 액화수소를 생산해 인근 연구기관, 기업, 수소충전소 등에 공급하기로 계획됐으나 수요처 발굴 부진, 가동률 저하 등으로 운영이 중단됐다가 올해 6월 말부터 상업 운영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하이창원은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고 하이창원에 710억원을 빌려준 대주단이 법인과 시설을 인수하면서 진흥원 측에 지난 6월 27~30일 생산한 액화수소 20t의 대금 3억 3000만원을 청구했다.


또 7월 생산분 155t에 대한 26억원도 두 차례 나눠서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앞서 창원산업진흥원은 하루 5t 규모의 액화수소를 의무 구매하기로 확약했다. 부가세 별도 금액으로 1㎏당 1만 5300원, 하루 7650만원으로 연간으론 280억원 규모이다.


그간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해 거래를 미뤄온 진흥원은 하루 8400만원, 연간 300억원 상당을 대주단에 지급해야 할 처지가 됐다. 플랜트 총 사업 기간은 2054년까지이다.


진흥원은 1차 액화수소 구매 대금 지급 기한을 넘긴 채 대주단과 사업 정상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