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지난 7월 극한호우로 인한 도내 피해액과 복구비를 발표하며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 중앙합동조사 결과 지난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액은 5177억원, 복구비는 1조 1947억원으로 확정됐다"라고 발표했다.
이 기간 경남엔 산청군 632㎜, 함안군 583.5㎜, 합천군 532.2㎜, 창녕군 374㎜, 하동군 369.5㎜ 등 서부 내륙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졌다. 특히 산청군 단성면에는 시간당 101㎜가 넘는 폭우가 내렸다.
호우로 인한 산사태와 하천 범람, 침수 등으로 산청군에서만 14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명이 크게 다쳤다.
공공시설 피해 2602건, 사유재산 피해는 1만6086건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산청이 3271억원으로 도내 전체 피해 규모의 63.2%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합천이 1084억원으로 전체의 20.9%로 집계돼 그 뒤를 이었다.
이번 경남도 자연재난 복구비는 2022년 태풍 '루사' 1조 9000억원과 2003년 태풍 '매미' 3조 2000억원 이후 22년 만에 최대 규모이다. 도는 전체 복구비 중 9771억원을 확보했다.
경남도는 전체 복구비 중 공공시설 복구에 1조 950억원을 투입하고 사유 시설 복구에 997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복구에서 본래 기능을 회복하는 중점을 둔 '기능 복원'과 동일 규모 호우 발생 시 재난을 방지하고자 방재성능을 강화하는 '개선복구'를 병행해 중장기 복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기능 복원은 내년 장마철 전 완료하고 개선 복구 주요 공정 또한 최대한 같은 시기에 최대한 마무리할 방침이다.
공공시설 복구계획에는 하천 제방보강과 배수 펌프장 증설, 산청 상능마을 이주단지 조성 등 21개 지구에 5130억원을 투입하는 지구단위종합복구와 개선복구사업이 포함됐다.
도는 우선 양천과 호계천을 비롯한 16개 지방하천에 총 4273억원을 투입해 하천 폭 확장, 제방 보강 등 구조적 보강을 통해 방제 기능을 높이는 개선복구사업에 나선다.
또 극한호우로 땅이 밀리며 마을 지반이 통째로 내려앉아 살 수 없게 된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 대신 총사업비 305억원을 들여 1만5000㎡ 규모 주택단지를 조성하고 13세대 16명의 주민이 이주하게 할 계획이다.
기존 상능마을에는 토사 제거, 주택 철거, 침사지 조성, 배수로 정비, 비탈면 보호공 등을 펼쳐 2차 피해를 막고 도로 개설, 소하천 복구 등 공공시설도 설치한다.
또 959억원을 들여 사방댐 설치 등 산사태 피해지를 복구한다.
도는 집중호우로 집이 완전히 파손된 가구엔 기존 정부 지원금 2200만원~3900만원에 600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집이 반파된 가구에는 3000만원을 추가해 총 4100~5000만원을 지원한다.
풍수해보험 가입자에게는 추정 보험금을 고려해 3200만원을 별도로 지원하고 주택 침수 가구에는 기존 도배, 장판 비용 350만원에 가전, 가재도구 피해 보전비 350만원을 더한다.
농작물과 산림작물 피해에 대해서는 주요 피해 품목을 중심으로 단가를 현실화하고 지원율을 기존 2배인 100%로, 농업, 축산, 산림, 수산 시설은 35%에서 45%로, 농기계는 전 기종 대상 50%까지 상향한다.
호우 피해 소상공인에게는 기존 지원에 재해구호기금 200만원을 포함한 500만원을 추가해 총 1000만원을 지원한다.
발표에 나선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올해와 내년도 태풍, 장마철에 대비해 피해 복구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겠다"라며 "호우 피해를 본 도민들이 하루빨리 안정을 찾고 일상으로 복귀하도록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 도는 소방, 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지역을 샅샅이 수색하는 등 실종자 수색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장기간 지속으로 한계가 좀 있는 건 사실이나, 유가족과 협의해 진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