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취 및 분석 평균 3.5일→당일
민간전문가 공동 조사 불신해소
환경부가 낙동강 수질관리 체계를 대폭 손본다. 취수구 인근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해 당일 분석하는 방식으로 바꿔 녹조 대응 속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가축분뇨 차단 등 종합대책도 연내 마련할 방침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런 내용의 녹조 검사 방법 개선 및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 관리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낙동강 4개 지점(해평·강정고령·칠서·물금매리)에서 운영 중인 조류경보제 채수 위치를 취수구 상류 2~4㎞ 지점에서 원수 취수구 50m 이내로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2년 4대강 사업 완공 이후 취수구와 채수 지점 간 괴리로 불거진 '현장과 다른 수질정보' 논란을 13년 만에 바로잡는 조치다.
지금까지는 시료 채취 후 분석과 경보 발령까지 평균 3.5일이 걸려 상류에서 미리 채수해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현장 이동형 분석차량과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센터를 활용해 남조류 세포수 등을 즉시 측정, 당일 경보 발령이 가능해진다.
조류경보제는 1998년 도입돼 상수원 28곳과 친수활동구간 8곳에서 운영된다. 현재는 상수원의 경우 시료 1㎖당 유해 남조류가 1000세포 이상이면 '관심', 1만세포 이상이면 '경계', 100만세포 이상이면 '대발생' 단계 경보를 발령한다. 친수활동구간은 각각 2만세포, 10만세포 이상일 때 관심·경계 단계가 내려진다. 환경부는 여기에 조류독소(마이크로시스틴) 농도를 반영하는 기준을 연내 법 개정을 통해 추가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또 녹조로 인한 국민 건강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먹는 물, 농산물, 공기 중 조류독소까지 모니터링 범위를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해 고농도 녹조 발생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의 안전성을 조사하고, 공기 중 조류독소의 흡입 독성 연구도 하반기 착수한다. 환경단체와 대립해온 공기 중 조류독소 검출 여부 논란에 대해서는 공동 조사 재개를 추진해 신뢰성 확보에 나선다.
환경부는 축사·농경지 등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확충,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 설비 확대,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 기준 강화 등 오염원 차단 대책도 병행한다. 아울러 낙동강을 포함한 4대강 재자연화 방안은 별도로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주민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시료 채취 단계부터 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민간 전문가와 공동 조사에 나설 것"이라며 "특히 1300만 명의 식수원을 담당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종합대책을 마련해 이재명 정부 임기 내 근본적 해결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