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 생태계 최후의 보루…'최소한 장벽' 절실해"[中에 안방 내준 K자율주행]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인터뷰]이재관 한국자동차연구원 AI·자율주행소장
韓 생태계 조성 위한 로드맵 필요
보조금·세제혜택 지원도
중소기업 활용 가능 '공공 자산' 마련 요청

"일단 한국 진출하는 해외 자율주행 업체의 데이터 운용 방식을 면밀히 살펴봐야죠. 우리 데이터만 다 뺏기고 생태계가 무너지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재관 한국자동차연구원 AI·자율주행소장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해외 자율주행 업체의 한국 진출 흐름은 막기 힘들다고 언급하면서도 우리 자율주행 생태계를 지켜낼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 차원의 견제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해외 업체 진출이 일자리 창출이나 기술 발전 차원에서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해도 (한국 자율주행 생태계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장벽은 세워줘야 한다"며 "단순히 우리 데이터만 가져가고 개발이나 인력 운용은 해외 본사에서 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관 한국자동차연구원 AI·자율주행소장.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이재관 한국자동차연구원 AI·자율주행소장.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그는 한국형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성도 강조했다. 우선 국내 기술로 솔루션을 개발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는 보조금 또는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제안했다.


초기 전기차 시장의 보급 확산을 위해 정부가 체계적인 지원에 나섰던 것처럼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별도의 로드맵을 만들어 보급 확산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소장은 "연차별 로드맵을 만들어서 자율주행차 확산을 유도하고, 국내 기업을 육성하는 쪽으로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주는 방법도 있다"며 "외국 기술을 그대로 들여와 데이터만 이용하려는 기업에는 보조금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견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에는 표준화된 개발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이나 공공 하드웨어(HW) 자산 등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자율주행차 개발 지원을 통한 생태계 조성 방안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을 예로 들며 중소 스타트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자산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표준화된 자율주행·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공공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SW 개발 키트를 만들어 외부에 개방하고, 완성차 업체와 자율주행 솔루션업체의 전략적 협업으로 자율주행차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 소장은 "중국 자율주행 업체들은 정부가 솔루션 기업과 완성차 업체를 전략적으로 매칭해 차량 플랫폼(HW) 지원을 해주면서 SW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며 "우리 자율주행 업체들은 차량 개조부터 SW 개발까지 모두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기에 개발 비용뿐만 아니라 속도도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