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펀드와 관련한 회계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자산운용업계가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회계 애로사항 논의' 결과에 대해 금융투자협회와 자산운용업계가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부동산본부장(전무)는 18일 "관계 당국의 적극적 지원으로 장기 인프라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투자협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해 업계의 펀드규약 마련을 지원하는 등 영구폐쇄형 펀드가 민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전까지 금융사가 펀드를 통해 초장기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경우 평가손익을 매년 당기손익(FV-PL)에 반영할 우려가 있었다. 자본 활용성에 제약 요소로 작용했다.
인프라펀드 결성 건수 기준 상위 6개 운용사 집계 결과 인프라펀드 규모는 2020년 2조1000억원에서 2024년 6000억원 규모로 감소했다. 금융권 중 투자비율이 높았던 보험사의 경우 올해 들어 신규 투자가 전무했다.
금융투자협회는 회계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회계기준원에 공식 질의를 신청했다. 회계기준원이 만기를 정하지 않은 폐쇄형 펀드는 투자자가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처리할 수 있다고 회신했다.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인프라 사업에 민간자금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기획재정부는 사회기반시설의 적기공급을 위해 18조5000억원+α 규모로 환경, 도로, 철도 등 신규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기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를 통과한 사업이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면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새정부의 미래 전략형 사업인 ▲인공지능 등 성장 및 산업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및 기후 위기 대응 ▲지역소멸 대응 및 지역 균형발전 등 새로운 유형의 공모형 민간투자 사업에도 금융사가 참여할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산운용업계는 인프라 사업에 금융회사 등 기관투자가가 투자할 수 있는 영구폐쇄형 펀드를 조성해 높은 투자위험을 감내해야 하는 후순위대출, 지분출자 등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