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석 특검팀, 김용대·이승오 등 軍 소환
비상계엄 명분용 '북한 무인기 투입' 집중 조사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7일 '평양 무인기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다시 소환했다. 피의자로 전환된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도 이날 함께 불려나갔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지난 14일 12시간가량의 '마라톤 조사' 이후 사흘 만이다. 김 사령관은 평양 무인기 작전 관련 외환·이적 의혹의 '키맨'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지난해 10월께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를 조사 중이다. 작전의 계획·준비 단계가 정상적인 지휘 경로인 합참의장을 건너뛰고 이뤄지는 '합참 패싱'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핵심 참모인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작전 계획 단계인 지난해 6월께 김 처장이 군 핵심 관계자 다수에게 비화폰으로 연락해 무인기 작전을 물어본 사실도 드러났다. 특검팀은 군 지휘 계통에서 벗어난 김 당시 처장이 민간인 신분으로 무인기 작전에 관여하고 보고를 받았다면 그 자체만으로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보고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이 본부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특검팀은 이 본부장을 상대로 무인기 침투 작전이 정상적인 지휘 체계에서 진행됐는지, 김명수 합참의장에게도 보고됐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함께 소환된 김 사령관과의 대질 조사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점쳐진다.
특검팀은 작전 이후 군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인 혐의도 조사 중이다.
특검팀은 또 이날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앞서 제기된 '제3자 내란 방조 의혹'과 수첩에 등장한 '북풍 유도' 메모 등을 조사한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당시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었던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도 오후에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과 국회 경찰 투입 등이 조사 대상이다.
특검팀은 18일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로 구속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 전 장관은 평시 계엄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의 장관으로서 불법적인 계엄 선포를 방조하고, 경찰청과 소방청에 언론사 단전 단수 지시를 전달하는 등 윤 전 대통령의 내란 범죄에 순차적으로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 이 전 장관의 구속 기한은 오는 21일께 만료된다. 이 전 장관이 혐의를 모두 부인하는 만큼, 이후 추가 조사 없이 곧장 기소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