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동훈 "조국·윤미향 사면은 이화영 사면 빌드업"…李대통령 지지율도 흔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 논란이 있는 여권 인사들이 대거 사면·복권된 8·15 특별사면에 대해 날 선 반응을 내놓았다.

그는 "법원은 이 대통령 재판기일을 정하지 않고 있을 뿐, 완전히 중단한 게 아니다"라며, "그러니 이화영이 입을 열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정권의 최우선 순위 과제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화영은 민주당 정권을 향해 '입을 열 수도 있다'고 협박을 해서라도 감옥에서 나오는 걸 바랄 것"이라고 전제하며, "그런데 유죄 증거가 넘치는 이화영을 재판에서 무죄 줄 방법은 없으니, 이화영이 감옥에서 나올 방법은 이 대통령이 사면하는 것뿐"이라는 분석을 덧붙였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사면 배경에 "정치적 빌드업" 주장
李대통령 지지율 5%p 하락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 논란이 있는 여권 인사들이 대거 사면·복권된 8·15 특별사면에 대해 날 선 반응을 내놓았다. 그는 이번 사면이 경기도 전 평화부지사 이화영 씨에 대한 발언을 원천 차단하려는 정치적 계산의 시작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8·15 특별사면에 대해 날선 반응을 내놓았다. 연합뉴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8·15 특별사면에 대해 날선 반응을 내놓았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 전 대표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화영 (쩐 경기도 평화부지사) 사면을 위해 사전에 뭐든 막 해도 되는 분위기 잡는 빌드업이자 전초전"이라는 강도 높은 표현을 사용했다. 이어 "대북 송금 뇌물 사건 등 관련해서 이화영이 이 대통령에 대해 입을 열면 이 정권은 무너질 수 있다"라고도 주장했다. 그는 "법원은 이 대통령 재판기일을 정하지 않고 있을 뿐, 완전히 중단한 게 아니다"라며, "그러니 이화영이 입을 열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정권의 최우선 순위 과제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화영은 민주당 정권을 향해 '입을 열 수도 있다'고 협박을 해서라도 감옥에서 나오는 걸 바랄 것"이라고 전제하며, "그런데 유죄 증거가 넘치는 이화영을 재판에서 무죄 줄 방법은 없으니, 이화영이 감옥에서 나올 방법은 이 대통령이 사면하는 것뿐"이라는 분석을 덧붙였다. 민주당이 구성한 '정치검찰 조작 기소 대응 태스크포스(TF)'나 이 전 부지사 면회를 위한 구치소 방문도 "이화영 달래기용"이라는 해석을 내놓으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 전 대표는 사법적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과 공범인 사안에 대해서는 사면할 수 없도록 하는 법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민주당 정권은 반대하겠지만 반대의 명분이 너무 약하고 국민이 그 속을 훤히 들여다보실 것이기 때문에 감당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나아가 그는 이번 사면이 북한과의 관련성까지 불거질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했다. "이 정권은 이화영뿐 아니라 이화영으로부터 돈을 받은 북한 김정은에게도 약점 잡혔을 수 있다"며 "수틀리면 김정은이나 김여정이 그 돈 받은 경위를 상세히 밝힐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앞으로 이재명 정부가 대북정책에서 북한 눈치를 심하게 보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 50%대로 추락

이처럼 정치권의 사면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도 처음으로 50%대로 떨어졌다. 갤럽코리아가 광복절 직후인 지난 12∼14일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통령 지지도는 59%로 전 조사 대비 5%포인트 하락했다. 지지율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는 광복절 특별사면이 꼽혔다. 동시에 조 전 대표의 사면에 대해서는 찬반 여론이 엇갈렸는데, 특히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중에서는 사면 반대가 무려 93%에 달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