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30 남자에 집중"…매독 전수조사 결과 2800명 감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수감시 체계 시작 이후 첫 공식 집계
전체 환자 78%가 남성…“전통적 역학 경향”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매독 환자가 약 2800명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젊은 남성에게 과반 이상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픽사베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합뉴스는 15일 질병관리청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인용, 지난해 1∼12월 최종 확정된 매독 환자가 모두 2790명이라고 보도했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5.4명이다.


이는 전수감시 체계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공식 집계된 수치다. 기존 4급 감염병이었던 매독은 지난해 3급으로 상향 조정돼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 대상으로 전환됐다.

이번 집계에 따르면 매독 환자 분포는 20~30대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통적인 역학 경향을 보였다. 전체 환자의 78.0%인 2177명이 남성이었고, 여성은 613명(22.0%)에 그쳤다. 발생률로는 남성(인구 10만명당 8.5명)이 여성(10만명당 2.4명)보다 약 3.5배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853명)와 30대(783명)가 전체의 58.6%를 차지했다. 특히 20대 발생률이 14.0명으로 가장 높았다.


병기별로는 조기 잠복 매독이 1220명(43.7%)으로 가장 많았다. 1기 매독은 983명(35.2%), 2기 매독은 524명(18.8%)이었으며, 3기 매독 51명(1.8%), 선천성 매독 12명(0.4%)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발생 추이를 보면 평균 약 200명가량이 꾸준히 발생했으며, 7월에 274명으로 가장 많았다. 국외에서 감염된 사례는 117명(4.2%)이었다.


매독은 매독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으로,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수직 감염이나 혈액을 통한 감염도 가능하다. 장기간 잠복하며 무증상일 수 있지만, 방치하면 심혈관계·신경계 손상 등 치명적 합병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1기 매독은 2~6주 후 궤양 등이 자연 소실될 수 있으나, 치료 없이 진행될 경우 3기 매독에서는 피부·뼈·간 등을 침범하는 고무종(gumma)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