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5일 광화문에 4만명 몰린다…인파 관리 어떻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행안부, 국민주권대축제 행사 관계기관 대책회의
안전관리에 경찰·소방 등 2200명 투입
인파사고 우려구역 중점 관리

광복 80주년을 맞아 15일 저녁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국민주권 대축제 및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에 4만여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돼 정부가 집중적인 안전관리에 나선다.


14일 행정안전부는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국민주권 대축제 행사 인파사고 대비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고, 기관별 대책을 점검했다.

1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무대에서 '국민주권 대축제'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무대에서 '국민주권 대축제' 리허설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5일 저녁 8시 광화문에서 열리는 국민주권 대축제에서는 국민대표 80명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직접 임명장을 수여하는 '제21대 대통령 국민임명식'도 함께 열린다. 이에 따라 행사장인 광화문광장에만 약 1만명의 초청 인원이 모이고, 행사장 주변으로 축제를 즐기려는 시민을 포함해 약 4만명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행사 전까지 비가 계속 내릴 것으로 예보되고 있어 야간 시간대 인파 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경찰·소방 등 공무원 약 2200명을 행사장 안팎에 배치해 인파사고 예방에 나선다.


행안부는 행사 당일 정부서울청사 1층에 현장 상황실을 설치하고, 재난안전통신망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단체 대화방 등을 통해 현장 상황을 관계기관과 실시간 공유하며 공동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또 현장에 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안전 펜스, 병목구간, 지하철 역사 등 인파 사고가 우려되는 구역도 중점 관리할 계획이다.

경찰은 대통령경호처와 협조해 행사장 주변에 경력을 배치해 질서 유지와 원활한 차량 흐름을 지원할 방침이다. 소방은 안전사고 발생에 대비해 구조·구급 요원과 구급차를 곳곳에 배치한다.


다만, 과거 '탄핵 찬반시위' 등 대규모 집회가 있을 때 시행됐던 광화문역, 안국역 등의 지하철 역사 무정차 통과 조치는 이뤄지지 않는다.


행안부 관계자는 "행사에 약 4만명 정도가 모일 것으로 예상되나 비가 내려 인파가 다소 줄어들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행사가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도록 인파 관리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탄핵 시위 장갑차 막은 부부·이국종·이세돌 등 대통령에 임명장

이날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원형 무대에서 진행되는 '국민임명식'에서 이 대통령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특별히 선정된 국민대표 80인에게 임명장을 받는다. 세부적으로 ▲탄핵 시위 때 장갑차를 막아섰던 부부 ▲국군대전병원 이국종 원장 ▲제78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최초 학생 부문 1등을 수상한 허가영 감독 ▲알파고와 대결을 펼쳤던 이세돌 바둑기사 ▲국내 최초 자연임신으로 다섯쌍둥이를 출산한 김준영·사공혜란 부부 등이 국민대표로 선정됐다.


이 대통령은 임명장을 받은 뒤, 국민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더 열심히 국민을 섬기겠다는 뜻을 담아 감사 인사를 전할 예정이다.


감사 인사 후에는 광장에 모인 국민들이 불렀던 노래 '다시 만난 세계'를 출연진과 참석자들이 함께 합창한다. 이후에는 DJ '아스터', 세계적 스트릿 댄스팀 '더 스토리즈', 태권도 시범단 '태권한류', 가수 산들·정은지, 그룹 IZNA, 가수 이승환 등의 무대를 통해 문화강국 대한민국의 면모를 선보인다.


임명식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를 포함해 각 계 대표, 사전 신청으로 선정된 일반 국민 등 3000여명이 참석한다. 행안부는 별도 초청을 받지 못한 국민도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축제의 장을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