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차관보 "관계부처와 지원 검토해 조속 처리"
정부가 포항 지역에 있는 철강 기업들과 만나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수출 기업 보호 방안 등을 논의했다. 철강 산업의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역으로 고용 우려 등이 확산하지 않도록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14일 경북 포항시청에서 '포항 철강 기업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윤인대 기재부 차관보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뿐 아니라 경상북도, 포항시 등 지방자치단체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티씨씨강판 등 포항 지역의 6개 기업이 참석했다.
기재부는 5일 1차 성장전략 전담반(TF)을 시작으로 기업 성장과 역동성 제고를 목표로 현장에서 기업 부담 완화 및 애로 해소를 위한 건의 사항 등을 듣기 위해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번 릴레이 현장 간담회의 경우 산업부가 공동 주재하며 포항 지역의 철강 산업 위기 극복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참석 기업들은 글로벌 과잉 공급 및 미국 관세 등 최근 통상 이슈 등으로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를 극복할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출 기업 보호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건의했다. 이후 지자체와 심층 토론을 했다.
철강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는 글로벌 공급 과잉에 대응해 탄소 저감과 에너지 효율화 등을 위한 기업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왔다. 정부 측 참석자는 철강 산업의 저탄소 전환과 산업 고도화 방안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철강 산업 위기가 포항 지역 경제 전반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이뤘다. 지역에 당면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용 안정 지원과 지역 협력 업체 및 소상공인 대상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는 등의 여러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포항시와 지역 기업의 여건을 감안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윤 차관보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통해 관계부처와 지원 수단 등을 검토해 조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기재부를 중심으로 기업 성장 촉진과 역동성 제고를 위한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 관계부처와 현장 의견을 듣고 규제 및 지원 제도 개선 과제를 계속 발굴할 계획이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