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AX 선도를 위한 현장간담회
산업용 파운데이션 모델·마켓플레이스 기반 생태계 구축 필요성 제기
정부가 공공부문 인공지능 전환(AX)을 가속하기 위해 기업과 머리를 맞댔다. 현장에서는 산업 특화 AI 개발, 부처 간 협업 거버넌스, 규제 완화, 실증 중심 발주 구조 전환 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4일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개최한 '공공AX 선도를 위한 현장간담회'에는 더존비즈온, 포티투마루, 딥노이드, 한컴인스페이스, 심플랫폼, 미디어젠, 무한정보기술 등 AI 기업과 KAIST·백석대 교수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정부가 보유한 공공·금융·의료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AI 에이전트를 구축해야 한다"며 "글로벌 표준을 수용한 에이전트 간 통신 체계와 '마켓플레이스' 기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대표는 이어 "현행 제안요청서(RFP)는 요구사항이 추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어 검증된 기술을 가진 기업이 선정되기 어렵다"며 "미국 국방부(DOD)처럼 프로토타입을 먼저 검증하고, 성과를 바탕으로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도 제안했다.
임대근 심플랫폼 대표는 "산업 특화 AI는 시계열·센서 데이터 등 거대언어모델(LLM)이 잘 못 하는 영역과 결합해야 한다"며 "제조·인프라 안전 분야처럼 산업 현장 데이터에 맞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우식 딥노이드 대표는 공공AX 사업이 개발 단계에서 끝나고 현장 정착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제도적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공공기관 담당자 교육이 선행돼야 하고, 초기 도입 과정에서 성능 미흡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응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기관들이 도입을 꺼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국내 공항 보안 검색대의 X레이 판독 AI 실증을 들었다. 현행 규정상 인증받은 모니터만 사용할 수 있도록 돼 있어 AI가 탑재된 모니터는 설치하지 못하고, 기존 모니터 옆에 별도로 두는 '보조 화면'으로만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모니터 수를 2대에서 1대로 줄이는 효율화도 법규상 불가능하다"며 "규정이 개선되지 않으면 정부 지원으로 개발한 AI 솔루션이 현장에서 제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사업 지속성 문제도 제기됐다. 송민규 미디어젠 대표는 "AI 시스템은 개발보다 운영·개선이 중요한데, 과제 종료 후 부처 자체 예산에 맡기다 보니 정착이 어렵다"며 "과제 선정 단계에서부터 운영과 유지관리까지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제명 제2차관은 "미래 AI G3 도약의 승부처는 인공지능 기술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있으며, 국가 전반의 AX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며 "향후 공공부문의 신속한 AI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민관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