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취임식 완료
기자실 방문해 인사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 원장이 14일 "저에게 자본시장이나 금융시장에 불안정을 초래할 만한 어떤 액션이 나올 것을 기대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이 신임 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취임식을 마친 후 기자들에게 "저는 의외로 과격한 사람이 전혀 아니라는 것만 먼저 말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혼자 결정·집행하는 식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아니다"라며 "집단으로 의사결정하고, 토론 과정을 거쳐 합의하는 형태로 활동하는 게 익숙하다"고 강조했다.
이 신임 원장이 취임 후 언론과 처음 인사하는 자리에서 '토론'과 '합의'를 강조한 것은 전임자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신임 원장은 이복현 전 금감원장과 마찬가지로 법조계 출신이다.
두 사람 모두 금융업계 경력이 없이 대통령 측근 출신이라는 점에서 의외의 '깜짝' 인사로 평가받는다. 이 신임 원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로, 대북 송금 의혹 사건 등에서 변호를 맡았던 이력도 있다.
이 원장은 현안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기회를 조만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장이 취임하면 그 이후 긴밀한 협조 아래 한목소리를 내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취임사를 통해서는 모험자본 공급 확대와 주가조작 엄벌 등 새 정부의 국정 과제를 재확인했다. 그는 "중차대한 시기에 중책을 맡은 것에 책임의 무게를 느낀다"며 "금융 산업이 국가 경제의 대전환을 지원하는 동시에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소임을 다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우선 "모험자본 공급 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상생지수는 금융권이 중소기업과 어느 정도 상생·협력하는지를 수치로 계량화하는 지표로, 중소기업계에서 도입을 건의해왔다. 여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도 최근 금융권의 국정과제 참여 유도를 위해 상생지수 도입을 제언했다.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도 강조했다. 이 신임 원장은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해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을 수 있는 질서를 잡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주가조작이나 독점지위 남용 등 시장 질서와 공정을 훼손하는 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 정부 아래 부동산 PF대출이 부실화됐다"며 "PF 잔존 부실을 조속히 정리해 주택·건설 금융을 정상화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부채와 주택가격 사이에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겠다"며 가계부채 총량 관리 방침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금감원 산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하는 안이 거론돼온 가운데 소비자 보호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힌 부분도 눈에 띈다.
이 원장은 "소비자보호처의 업무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에 힘쓰겠다"며 "금융권의 소비자보호 실태에 모니터링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필요시 감독·검사 기능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