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매운맛은 못 참지"…트럼프 관세 압박 속 글로벌 'K푸드 광풍'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상반기 수출액 46.6억달러…전년比 8%↑
라면·김치·김 등이 주도…인삼·음료 등은 감소
3분기 식품 경기도 개선 기대감

가공식품 수출 상승세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이어지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식품제조업 취업자 수도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며 최근 5개년 중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15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가공식품 수출액은 46억5800만달러(약 6조45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42억9600만달러)보다 8.4% 증가하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 시행 및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 등으로 수출 여건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달성한 실적으로 국내 식품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운맛은 못 참지"…트럼프 관세 압박 속 글로벌 'K푸드 광풍'
AD
원본보기 아이콘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곡물 및 곡분 제조품이 13억2000만달러(약 1조8300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조제 식료품(9억5000만달러), 담배 및 제조담배 대용물(5억6000만달러), 음료·주류·식초류(5억5000만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 품목군의 수출 증감률을 살펴보면 라면류(24.0%)의 수출이 가장 크게 증가했고, 그 뒤를 이어 김치(13.2%), 김(8.9%) 등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인삼류는 전년 동기 대비 20.3% 감소했고, 음료류(-12.6%), 참치캔(-6.0%), 쌀가공품(-4.9%) 등도 수출 감소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류의 수출 증가는 매운맛 제품의 글로벌 인기 확대, 매운 크림라면 등 다양한 라면 신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유럽 및 아세안 등 신시장 개척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김치는 코로나19 유행 시기 면역력 강화식품으로 주목을 받은 이후 K푸드 열풍과 함께 건강식·발효식품으로 인식되며 안정적인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매운맛은 못 참지"…트럼프 관세 압박 속 글로벌 'K푸드 광풍' 원본보기 아이콘

K푸드의 수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 식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도 32만1000명으로 전년 동기(31만9700명) 대비 0.4%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2021~2025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식료품제조업 부문은 30만1900명으로 전년 동기(30만200명) 대비 0.6% 증가한 반면 음료제조업은 1만9100명으로 전년 동기(1만9400명) 대비 1.8% 감소했다.


다만 K푸드 수출 증가에도 수입액이 이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만큼 무역수지 적자는 이어지는 모습이다. 올 상반기 가공식품 수입액은 87억달러(약 12조350억원)로, 전년 동기(86억5000만달러) 대비 0.5% 증가하며 최근의 감소 흐름에서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증가에는 환율 변동의 영향이 일부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수입액이 가장 큰 품목은 조제 식료품(13억9000만달러)이며, 식용 유지(13억달러), 조제사료(11억1000만달러), 채소 및 과실 조제품(8억2000만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수입 증가율을 살펴보면 코코아 조제품이 41.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식용 유지(32.4%), 낙농품(27.1%), 채소 및 과실 조제품(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품산업 경기동향조사 결과 올해 3분기 경기 전망지수는 100.1로 집계되며 전 분기(96.1) 대비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지제조, 발효주업, 과실채소, 낙농빙과, 도시락 등의 업종에서 2분기 대비 경기가 상대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앞서 1분기에는 내수 부진 등 소비자의 소비량 감소, 환율 상승 등 국제적인 악화로 인한 경제 불안 등 대내외적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대부분 업종에서 경기 악화를 체감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3분기는 원자재 수급 안정과 여름철 각종 행사 등에 따른 거래·소비 증가 등 요인으로 다수 업종에서 경기 회복세 전환이 기대된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