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아르헨티나'와 협업…연 15만톤 생산목표
중국 최대 리튬 생산업체인 간펑리튬이 남미에서 연간 15만 톤의 리튬을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간펑리튬이 스위스에 본사를 둔 리튬 아르헨티나와 아르헨티나 살타 지역에 있는 세 곳의 염호 사업을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간펑리튬은 합작회사의 지분 67%를, 리튬 아르헨티나는 33%를 보유하게 된다. 리튬 아르헨티나의 최고경영자(CEO)인 샘 피곳은 "이번 제휴를 통해 첨단 기술 접근성, 더 큰 재정적 유연성, 운영 시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됐다"면서 "글로벌 리튬 공급망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사업지는 아르헨티나 살타 소재 염호인 포주엘로스, 파스토스 그란데스, 살 데 라 푸나 등이다. 양측은 이곳에서 연간 15만 톤 규모의 탄산리튬을 염수에서 추출해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태양열 증발과 직접 추출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점차 생산량을 늘리고, 물 사용량은 줄인다는 방침이다.
두 회사는 이미 아르헨티나 북서부 후후이주에 있는 카우차리 올라로스 광산을 현지 광산 업체와 함께 운영 중이다. 이 매장지는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소위 '리튬 트라이앵글'에 있는데, 지난해부터 채굴을 시작해 연간 4만 톤의 탄산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태양열 증발법과 직접 추출법 모두를 사용하는 이곳은 아르헨티나 최대 규모이자 가장 친환경적인 염수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이밖에 간펑리튬은 호주, 캐나다, 말리, 멕시코, 아일랜드 등에서도 리튬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중국과 공급망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은 네바다주 등에서 리튬 광산 개발을 추진 중이나, 환경 규제와 지역 주민 반발로 속도가 더딘 편이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으로 중국산 리튬을 배제하는 동시에 캐나다, 호주, 칠레 등과의 전략적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