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힘 당권주자, 국힘 중앙당사 압수수색...전당대회에 테러 만행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김문수 "이재명 독재 반대자 모두 손잡아야"

장동혁 "전직 대통령과 배우자 함께 구속...공평하지 않은 것"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은 13일 대전에서 열린 충청·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도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과 '찬탄'(탄핵 찬성)으로 나뉘어 난타전을 벌였다.


반탄파인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하며 대여 투쟁 노선을 앞세웠고, 장동혁 후보는 특검 수사의 부당성을 강조하면서 찬탄파 후보들을 직격했다.

김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 내외를 구속하고, 급기야 오늘 특검에서 자랑스러운 국민의힘 중앙 당사를 압수수색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폭탄을 던지는 테러 만행"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표가 되면 이재명 정권 3개 특검에 대한 인권탄압진상조사단을 구성하겠다"며 "이재명 독재를 반대하는 모든 국민과 손잡고 우리 국회뿐 아니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모두 일어서서 투쟁해야 되지 않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장 후보는 "헌정사 처음으로 전직 대통령과 배우자가 함께 구속되는 일이 발생했다. 조국 전 장관과 비교하면 공평하지 않은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을 구치소에서 패대기치고 인권을 유린하는 것을 보고도 내란 동조 세력으로 몰릴까 봐 한마디도 하지 못하는 게 부끄러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당에 내란 동조 세력이 있다고 국민의힘과 동지들을 팔아넘기는 것도 부끄러운 것"이라며 "누군가는 그렇게 욕했던 '윤어게인'과 손가락질하는 전한길 선생이 (지난) 겨울에 우리 당을 지키자고 했던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찬탄파인 조경태·안철수 후보는 12·3 계엄을 옹호하는 등의 극단 세력과는 결별할 것을 촉구했다.


조 후보는 "(당이) 위기에 빠진 이유는 불법 비상계엄을 한 윤 전 대통령 때문"이라며 "우리 당을 망친 배신자 윤석열 부부와 반드시 절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을 괴물 수준으로 만들고 집권 여당의 직위를 야당으로 전락시킨 윤석열 부부가 배신자"라며 "대표가 돼 우리 당에 남아 있는 극우 세력을 한 명도 빠짐없이 몰아내겠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극단 세력과 함께 계엄을 옹호하면 합리적 보수 당원들이 다 떨어져 나가고, 똘똘 뭉쳐도 (지지율이) 30%도 될 수 없다"며 "극단 세력이라는 시한폭탄을 그대로 두면 아무리 이재명 정권을 비판해도 지지율은 늘어나지 않고, 내년 지방선거는 폭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계엄 옹호 세력, 극단 세력과 결별해야만 이재명의 정당 해산 음모에 당당히 맞설 수 있다"면서 "계엄과 극단의 굴레를 벗어나려면 선동으로 당원을 우롱하는 진짜 배신자와 결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고위원 후보들도 '배신자론'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여당의 내란 프레임을 그대로 따르는 게 배신이라는 주장과 당의 쇄신을 막는 게 배신이라는 주장이 맞섰다.


신동욱 후보는 "특검은 우리를 토끼몰이하듯이 내란 정당으로 몰아가고 있는데 누구는 토끼몰이의 앞잡이가 돼 우리를 쫓고 있다"면서 "배신이다. 반드시 배신을 심판하는 전당대회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반면 김근식 후보는 "탄핵 반대는 우리가 충분히 같이 가지만 계엄 옹호는 같이 갈 수 없다"며 "작년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한테 제발 총선이니 김 여사 문제 해결하자고 얘기한 게 내부 총질인가"라고 반문했다.


대구와 부산에서 열린 1·2차 연설회에 이어 이날도 지지자들은 자신의 성향과 반대되는 후보의 연설 도중 "배신자", "내려오라" 등의 고성과 야유를 보냈다.


장 후보가 연설 도중 눈시울이 붉어지며 열변을 토하자 일부 지지자는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반면 찬탄 진영 지지자들은 장 후보를 향해 배신자라고 외쳤다.


지난 8일 1차 합동연설회에서 장내 소란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전대 출입 금지 조치를 받은 전한길 씨는 전날 2차 연설회와 마찬가지로 이날 장내에 출입하지 못한 채 행사장 외부에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충청취재본부 모석봉 기자 mosb@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