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국에서 채소만 먹어, 힘들다" 토로…인도 유학생 영상에 갑론을박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국, 채식주의자로 살기 어려워"
인도 유학생 온라인 토로

국내에서 유학하고 있는 한 인도 여성이 한국에서는 채식주의자로 살기 어렵다고 토로한 영상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인도 유학생인 쿠시 야다브씨가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겪는 어려움을 토로한 영상. 쿠시 야다브 인스타그램 캡처

인도 유학생인 쿠시 야다브씨가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겪는 어려움을 토로한 영상. 쿠시 야다브 인스타그램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유학생 쿠시 야다브씨는 지난 1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크라(bhindi)가 먹고 싶어서 죽을 것 같다"는 글과 함께 한국 생활에 대한 대화를 담은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서 그는 "종교적인 이유로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먹지 못하고, 닭고기는 괜찮지만 어릴 때부터 먹지 않았다. 계란은 먹을 수 있다"고 자신의 식습관을 소개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야채만 먹고 산다. 너무 힘들다"며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살아가는 고충을 토로했다.


쿠시는 "그래서 주로 카페에 가지만, 사실 커피도 싫어한다"고 털어놨다. 함께 대화를 나눈 한국인이 "먹을 게 하나도 없네, 그럼 어떻게 하나"라고 반응하자 쿠시는 "한국 빵집 너무 좋았다. 빵이 너무 맛있다"고 답했다. 다만 "대부분 너무 달다"며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영상은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사는 어려움이라는 설명과 함께 12일 인도 현지 언론 힌두스탄타임스에도 소개됐다.

해당 영상을 접한 사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는 "국내 채식주의자들도 같은 어려움을 겪는다"며 공감하는 반응을 보였으며, 또 다른 일부는 "최근 한국에서도 샐러드 시장이 커지고 있다", "닭고기를 먹는다면 선택지가 많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실제 한국은 전통적으로 육류와 해산물을 많이 사용하는 식문화를 가지고 있어,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채식 메뉴 접근성이 낮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국내 채식 인구는 2008년 15만 명에서 2018년 150만 명으로 10배 가까이 급증했으며, 현재는 약 25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 약 4% 규모로 여전히 전체 인구 대비 비율이 낮고, 채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 낮아 그 수요에 제한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