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정위 보고대회]2030년 서해안, 2040년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재생에너지 전국 연결·RE100 산업단지 조성
약 8조원 HVDC망으로 수출·지역균형 지원
태양광·풍력 전력망 확충해 경쟁력 강화

이재명 정부가 인공지능(AI) 등 혁신경제 기반 강화를 위해 2030년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2040년대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 완성을 목표로 하는 계획을 내놨다. 태양광·풍력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과 RE100 산업단지 조성으로 기업 수출 경쟁력과 지역 균형 성장을 지원한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국민보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주도 과제로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을 설정하고, 12대 중점 전략과제에도 포함시켰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에너지 고속도로는 호남 재생에너지 클러스터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 등 수요지로 보내는 고압직류송전(HVDC)망 건설 사업이다. 2030년대 서해안 축의 HVDC를 먼저 건설하고, 남해안·동해안으로 확장해 2040년대 전국에 U자형 네트워크를 완성한다. 서해안 HVDC는 신해남∼태안∼서인천(430㎞), 새만금∼태안∼영흥(190㎞) 구간으로, 총 7조9000억원이 투입된다. 수송 능력은 8GW에 이른다. 정부는 주민 수용성을 높여 공기 지연 없이 개통한다는 방침이다.


전력계통 확충도 병행된다. 송전선로 길이를 2030년까지 현재 3만7169서킷킬로미터(c-㎞)에서 4만8592c-㎞로 30% 이상 확대한다. 이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담긴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확대(2023년 30GW→2038년 121.9GW)에 맞춘 조치다.


국정위는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78GW 이상 확보 목표를 제시했다. 해상풍력 단지·전용 항만 조성, 영농형·수상·산업단지 태양광 확대 등을 추진하며,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해 글로벌 기업의 재생에너지 요구에 대응한다. 전남 RE100 산단과 경기 남동부 RE100 반도체 클러스터 조기 구축도 포함됐다.

주민과 발전 수익을 공유하는 햇빛·바람연금,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도 추진된다.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도입 계획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았다. 송경희 국정위 경제2분과 위원장은 "경부고속도로와 초고속 인터넷망이 산업화·정보화의 기틀이 됐다면, AI·에너지 고속도로로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말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