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열악한 워라밸 인식에 교직 선호도↓
미국, Z세대 "선생님 될래요" 사상 최저
한국, 교권 침해로 교직 이탈 심각
"특단의 보호 대책 마련돼야"
미국과 한국에서 젊은 세대의 교직 기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는 Z세대의 교직 진출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한국도 교권 침해와 처우 악화로 젊은 교사들의 이탈이 늘고 있다. 낮은 급여와 과중한 업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美 남부 지역, Z세대 교직 진출 사상 최저
미국 지역 일간지 클라리온레저는 최근 "전국적으로 교사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교육계가 Z세대의 인력 유입을 기대하고 있으나 정작 이들의 관심은 저조하다"며 "특히 남부 지역에서 Z세대의 교직 진출은 사상 최저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미 교육정책연구소(LPI)가 지난 6월 발표한 '교사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에서 최소 41만1549개의 교원 자리가 공석이거나 정식 교사 자격증이 없는 선생님이 수업을 맡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교직의 약 8분의 1에 해당한다. 특히 남부 미시시피주의 경우 채워지지 못한 교사 수가 약 3000명에 달했다.
미 남부지역교육위원회에서 교원 인력을 담당하고 있는 메건 보렌은 Z세대의 교직 기피 원인으로 ▲낮은 급여 ▲워라밸 부족 ▲행정 지원 미비 등을 꼽았다. 그는 "낮은 급여와 열악한 워라밸이 맞물리면서 Z세대는 결국 다른 직종을 택하게 됐다"며 "신규 교사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지원이며, 이를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사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Z세대가 일찍부터 교직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고교 시절부터 멘토링이나 교사 체험 수업 등으로 교직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보렌은 "학생들에게 교육 현장을 일찍 경험하게 하면 장래에 교직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치원 교사 안나 리아 로버츠(23) 또한 어릴 적부터 교사였던 어머니와 할머니를 도우며 자연스레 교직에 관심을 가졌다. 현재 2년 차 교사인 그는 "교실에 있을 때 활력을 느낀다"며 "학생들의 기억에 오래 남을 무언가를 가르쳤을 때 느끼는 보람이 모든 어려움을 잊게 한다"고 말했다.
다만 로버츠는 교사는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강한 사명감이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학 시절에는 교사라는 직업의 참된 의미를 잘 깨닫기 어렵다"며 "이 일은 단순한 직업 이상의 무언가"라고 덧붙였다.
韓, 교단 떠나는 젊은 교사 많아져…'교권 침해' 심각
이 같은 흐름은 한국에서도 나타난다. 한때 안정적인 직업으로 선망받았던 교사는 교권 추락과 처우 악화 등으로 선호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지난 5월 발표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저연차 교사의 교직 이탈에 대해 응답자의 90.0%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 중 절반 이상(51.6%)은 '매우 심각', 38.4%가 '다소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교직 이탈 원인으로는 '교권 침해(40.9%)'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사회적 위상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 순이었다. 해당 조사는 전국 유치원·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교직 이탈 규모도 빠르게 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초·중·고등학교 중도 퇴직 교원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정년 전 퇴직한 교원 수는 최근 5년 총 3만3705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6512명 ▲2021년 6642명 ▲2022년 6774명▲ 2023년 7626명 ▲2024년 9194명으로 매년 증가세다. 퇴직교원 중 경력 5년 미만 저연차 교원은 총 1362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교총은 이에 대해 "갈수록 힘들어지는 생활지도와 교권 침해로 인해 MZ세대(밀레니얼+Z세대) 교사부터 교장·교감까지 앞다퉈 교단을 떠나고 있다"며 "지금 우리 교육은 위기를 넘어 공교육 붕괴 전조증상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교권이 무너지면 교육활동과 생활지도가 위축되고 기피 현상까지 심화해 결국 학생, 학부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단의 교육활동 보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