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제한 조치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정부 "전세가격 흐름 변화 크지 않고 신용대출 증가도 일시적 현상"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6월27일 정부가 가계부채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하면서 대출을 규제한 이후 증가세가 다소 꺾였다.
6.27 대출 제한 조치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금융위원회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기록한 6조5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고 밝혔다.
지난 1월 9000억원 감소했던 금융권 가계대출은 2월 4조2000억원, 4월 5조3000억원, 6월 6조5000억원 등 가파르게 증가한 바 있다. 당시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빚내서 집을 사는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이에 정부는 집값 과열을 막기 위해 대출을 규제하는 가계부채관리 강화방안을 지난 6월27일 내놓았다. 이후 대출 증가세가 확연히 꺾였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지난달 가계대출을 항목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전월 대비 4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6월 6조1000억원이 증가했던 것에 비해 증가폭이 줄었다. 신용대출이 포함된 기타대출은 1조9000억원 감소했는데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업권별로 보면 7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8000억원 증가해 전월 6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대폭 축소됐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 대비 축소(3.8조원→2.2조원)됐다. 정책성대출도 증가폭이 소폭 축소(1.3조원→1.2조원)됐다.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1.1조원→-0.6조원)됐다.
지난달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감소해 3000억원 증가했던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상호금융권(1.2조원→0.3조원)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0.04조원→-0.3조원)과 보험(-0.3조원→-0.4조원)은 전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7월 가계대출 증가세는 7000억원이 증가한 지난 3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전년 동월 증가폭(5.2조원)에 비해서도 크게 낮은 규모라고 평가했다.
통상 자금 수요가 증가하는 7월의 계절적 요인에도 주담대와 기타대출 증가세가 모두 둔화한 것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서라고 진단했다. 다만 이미 이뤄진 주택거래와 대출 승인액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세가격 흐름 변화 크지 않고 신용대출 증가도 일시적 현상
또한 참석자들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시행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최근 전세가격 흐름은 변화가 크지 않은 상황으로 금번 대책 시행에 따른 전세시장의 불안요인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다만 하반기 이사 수요 등으로 전세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정부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등의 영향으로 7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안정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8월은 통상 계절적 요인(이사수요, 휴가철 자금수요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안정화될 때까지 시장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규제지역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거시건전성 규제 정비(예 :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준비돼 있는 조치를 즉각적이고 선제적으로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8월 들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언급된 신용대출 증가세는 공모주 청약 등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최근 증거금 등이 환급되며 금월 중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현재까지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너도나도 뛰어들더니 '고등학생'도…요즘 난리난 핫플 보면 꼭 있다는 것[빵값의 비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1609404885195_1755304849.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