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 품질·안정성 높이고 사고 위험 최소화
AI 객체 분석 기반 승강기 시스템 적용
HDC현대산업개발이 송파한양2차에 업계 최고 수준의 최첨단 AI(인공지능)와 DX(디지털 전환)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 AI 랜드마크'로 완성하겠다고 13일 밝혔다.
모바일 기반의 현장 품질관리 시스템과 드론 안전 점검, 국내 최초 AI 승강기 운영기술 등 고도화된 솔루션을 결합해 시공과정의 품질과 안정성을 높이고, 완공 후 입주민 편의성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HDC현산은 2023년 업계 최초로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I-QMS'을 도입했고 올해 초 모바일 버전을 선보였다. 향후 송파한양2차 공사 현장에서도 품질과 자재 검수, 검측,영상 기록 등을 본사와 공유하고 시공 과정의 오류를 방지할 계획이다. 또한 안전관리 플랫폼 'I-SAFETY 2.0' 등과도 연동해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현장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단순 시공 품질 개선을 넘어, 입주 후 하자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안전 부문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고위험 작업구역 실시간 점검, 추락 방지 웨어러블 에어백, 밀폐공간 작업용 '세이프티볼', 지능형 영상 감지 카메라, CCTV 통합관제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장비와 시스템을 도입해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는 조합원 부담으로 직결되는 공기 지연, 공사비 증가 가능성을 크게 줄이는 장치다.
입주민 생활 편의를 높이기 위해 AI 승강기 기술도 적용한다. HDC현산은 지난 4월부터 HDC랩스, 현대엘리베이터와 국내 건설사 최초로 AI 객체 분석 기반 승강기 시스템을 개발했다. AI 승강기는 화재 발생, 낙상, 이상 행동, 반려견 동반 탑승 때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월패드나 현관 스위치를 활용한 사전 선택 기능도 지원한다. 운행 효율도 기존보다 30% 이상 높아 에너지 절감효과도 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송파한양2차 재건축에 적용할 AI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은 단순한 고급화가 아니라, 시공·안전·운영 전 단계에서 장기적 가치를 보장하는 차세대 건설 솔루션"이라며 "서울 동남권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고의 기술력과 품질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송파한양2차 수주에 나선 HDC현산은 글로벌 경관조명 디자인 기업 LPA와 협업해 단지 외관부터 커뮤니티 공간, 가로·휴게 공간 전반에 차별화된 조명 설계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LPA는 일본 조명 디자인 전문 기업으로 도쿄 '롯폰기 힐즈', 싱가포르 '가든스 바이 더 베이' 등의 조명을 연출했다. 구조 설계 분야에서는 미국의 구조설계 회사 LERA와 협력해 내진 성능과 구조적 안정성을 갖춘 주거단지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송파한양2차는 8호선 송파역 인근에 위치하며 1984년 준공된 744가구 규모의 단지로 재건축 후 지하 4~지상 29층, 1346가구로 건립된다. 공사금액은 약 6856억 원에 달한다. 시공사 선정 입찰 마감일은 9월4일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