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7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2.8조…6·27 효과 '큰 폭 감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가계대출 잔액 1164.2조…2.8조 증가
주택구입목적 주담대 높은 증가세에도
규제 시차 짧은 생활자금용 주담대·신용대출분↓
서울집값 상승률 여전히 높아 추세안정 지켜봐야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큰 폭 줄면서 증가액이 2조8000억원에 그쳤다.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도 2조원대에 머물렀다. 지난 5, 6월 급증한 주택거래에 7, 8월까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봤던 기존 예상을 깬 증가 폭 축소다. 6·27 대책 발표 이후 금융권의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강화되면서 규제 시차가 짧은 생활자금용 주담대, 신용대출분이 크게 줄어든 결과라는 분석이다.


7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2.8조…6·27 효과 '큰 폭 감소'
AD
원본보기 아이콘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64조2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2조8000억원 증가했다. 전월(6조2000억원) 대비 증가 규모가 상당폭 줄었다.

지난달 주담대는 3조4000억원 늘어 92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6월(5조1000억원) 대비 증가 규모를 소폭 줄였다. 4~6월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이 지속되면서 주택구입목적 주담대는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월 5000건에 이어 5월 7400건, 6월 1만900건으로 규모를 키웠다. 다만 6·27 대책 발표 이후 규제 시차가 짧은 생활자금용 주담대 한도 축소, 분양 관련 중도금 납부 수요 감소 등이 작용하며 증가 폭이 줄었다는 분석이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6·27 대책 발표 이후 금융권의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강화되면서 생활자금용 주담대, 신용대출분이 크게 줄어 7월 가계대출 상승세 둔화를 주도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둔화했고 거래량도 상당폭 축소되는 등 수도권 주택시장의 과열 양상이 대체로 진정되는 모습"이라며 "금융권 가계대출 관리가 강화되면서 규제 시차가 짧은 대출 항목을 중심으로 정책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향후 가계대출이 추세적으로 안정될 수 있을지는 시장 흐름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박 차장은 "서울 주요 지역 주택가격 상승률이 여전히 굉장히 높은 수준이고 금융 여건 완화 기대, 지역 간 풍선효과 등 가계대출 불안 요인이 산재해 있어 향후 추세 안정 여부는 시장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주담대에 포함되는 전세자금대출은 전월 말 대비 3000억원 증가했다.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대출), 상업용부동산 담보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주식담보대출 등을 포함하는 기타대출은 6000억원 줄었다. 신용대출 한도 축소, 은행들의 대출태도 강화 등으로 감소 전환했다.


기업 대출은 계절적 요인으로 증가 전환했다. 지난달 말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1346조4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3조4000억원 늘었다. 대기업 대출은 5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상환분을 재취급하면서 소폭 증가 전환했다. 중소기업대출은 2조9000억원 늘었다. 7월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일부 은행의 영업 확대 등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박 차장은 "중소기업의 경우 7월 부가가치세 납부 영향과 함께 여름 휴가철 시설자금 투자가 이뤄지는 경향이 있어 통상 7월 대출 규모가 증가한다"며 "지난달 증가 규모를 예년 7월과 비교하면 큰 규모는 아니라고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은행 수신은 수시입출식예금을 중심으로 전월 말 대비 11조4000억원 감소 전환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예치됐던 자금의 재유출,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24조2000억원 큰 폭 줄었다. 정기예금은 일부 은행의 규제 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유치 노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9조6000억원 늘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46조6000억원 급증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증가 전환해 23조3000억원 늘었다. 전월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유출됐던 법인자금이 재유입된 결과다. 채권형펀드는 8조9000억원, 주식형펀드는 9조3000억원 각각 늘며 유입 규모를 키웠다. 기타펀드 역시 4조6000억원 늘며 증가세를 지속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