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초구, 효도버스 등 공공버스에 ‘실시간 위치 서비스’ 도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국 지자체 첫 사례…‘AI 특구 버스’에도 서비스 확대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가 전국 최초로 공공버스인 ‘효도버스’와 ‘문화버스’에 실시간 위치안내 서비스를 도입하며 스마트 교통 복지 실현에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서초 효도·문화버스 도착정보 안내 QR. 서초구 제공.

서초 효도·문화버스 도착정보 안내 QR. 서초구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효도버스’는 지역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순환버스이고, ‘문화버스’는 도서관, 문화센터, 체육시설 등 주요 문화시설을 도는 버스로, 각각 5호차까지 주민들에게 무료 운영되고 있다. 지자체 운영 공공버스에 실시간 위치안내가 제공되는 것은 서초구가 전국 첫 사례다.


구는 각 차량에 RTK(Real-Time Kinematic) 장비를 설치했다. RTK는 기존 GPS보다 오차범위가 훨씬 적은 정밀 위치 보정 기술로, 약 5~10cm 단위의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누구나 웹페이지 ‘서초 효도·문화 버스’에서 현재 위치와 도착 예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서초 스마트시티 앱’과의 연동으로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였다.

구는 내년부터 운행 예정인 ‘AI 특구 버스’에도 이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AI 특구 버스는 양재·우면동 일원 양재 AI 특구의 주요 거점을 순환하며, AI·ICT 기업 종사자와 지역 주민 등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서초구는 지난달부터 ‘키즈노트’와 협력해 어린이집·유치원 통학 차량의 위치를 학부모에게 실시간 안내하는 ‘어린이 안심통학버스’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다. 이번 효도·문화버스에 이어 AI 특구 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디지털 기술 기반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교통 환경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서초를 오가는 모든 이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서초구는 AI 산업 미래를 이끌어갈 AI 특구의 도시로서, 앞으로도 디지털 기반의 교통 복지를 선도하는 스마트 행정을 지속적으로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