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기풍이 김정일에 계승' 선전
북한이 애니메이션 고주몽을 완결하면서 자신들의 역사적 전통성 선전에 나섰다.
12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2016년 첫 방영한 '고주몽'이 지난 2월 50부까지 제작을 마치고 현재 방영 중이라고 보도했다. 고주몽은 주인공 주몽의 아버지 해모수와 어머니 류화가 가정을 이룬 때부터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해 사망할 때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제작사인 강철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단장은 조선신보에 "많은 사람이 력사(역사)만화영화 '고주몽'을 통해 천년강국 고구려를 세운 동명성왕과 고구려 건국을 전후한 시기 우리나라의 역사, 인민들의 생활 환경 등에 대한 보다 깊고 풍부한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소감을 피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북한은 1990년대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해 단군릉, 동명왕릉, 왕건릉을 복원해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조선-북조선'으로 이어지는 체계를 세웠다. 이러한 노력은 학술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졌으며, 북한의 요청으로 2004년 고구려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고 2017년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고구려총서'를 출간해 고구려 역사의 학술적 기반을 다졌다.
예술 분야에서는 애니메이션 '고주몽'을 비롯해 '소년장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등 고구려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꾸준히 제작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무예를 중시한 고구려의 상무 기풍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대에 국방을 우선시한 선군(先軍)사상으로 계승됐다고 선전하며, 고구려의 용맹함을 현재 체제와 연결하고 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