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도 위기 넘기니 대주주 갈등…여천NCC로 본 한국 석화업계 현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긴급 자금 투입 합의로 부도 위기 넘겼지만
석화 불황 속 '원료 가격 전쟁' 장기화 조짐
에틸렌 하한가 보장·장기계약 두고 시각차

여천NCC 공동 대주주인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유상증자에 양측이 나서 여천NCC는 가까스로 부도 위기를 넘겼지만 사태 책임과 원료 공급 계약 조건 등 구조적인 문제를 두고 충돌하면서 갈등은 격화하는 양상이다.


한화그룹은 12일 자료를 내고 과거 DL그룹이 저가 거래로 여천NCC에 큰 손실을 입혔다며 부도 위기 극복에 동참해 달라고 밝혔다. 한화에 따르면 여천NCC는 올해 초 국세청 세무조사에서 에틸렌과 C4R1(합성고무 원료) 등을 시세보다 낮게 팔아 총 1006억원의 법인세 등을 추징당했다. 이 가운데 DL그룹과의 거래로 발생한 금액이 962억원(96%)에 달했고, 한화 거래분은 44억원(4%)이었다. DL 거래분은 에틸렌 489억원, C4R1 361억원, 이소부탄 97억원, 기타 15억원이다.

전남 여수시 여천NCC 제1사업장 전경. 아시아경제 DB

전남 여수시 여천NCC 제1사업장 전경. 아시아경제 DB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화는 "국세청이 DL그룹이 부당한 이익을 챙겼다고 판단했다"며 "계약 조건을 시장 가격에 맞게 고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또 "DL케미칼이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20년 장기 계약을 요구하고 있다"며 "향후 20년간 여천NCC에서 막대한 이익을 얻겠다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이어 "불공정한 거래 조건이 이어지면 또다시 세금 추징을 받아 큰 손실이 날 수 있다"며 외부 전문가 검증도 받을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주사로서 책임감을 갖고 자금 지원에 동참해 임직원과 지역사회, 업계의 불안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갈등은 여천NCC와 양 대주주 간 에틸렌 공급 재계약 협상과 맞물려 있다. 국세청의 세무조사 이후 양사가 여천NCC와 맺은 공급계약은 올해 초 만료됐다. 갱신되는 공급계약에선 입장이 달라졌다. DL케미칼은 원가 이하 판매를 막기 위한 '가격 하한선'과 장기 계약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한화는 하한선을 두지 않고 시황 하락 시 낮은 가격으로 원료를 들여오겠다는 입장이다.


여천NCC를 둘러싼 갈등은 국내 석유화학업계 불황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사례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호황기에는 원료공급가격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제품 가격이 내려가는 상황에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선 결국 원료가를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부도 위기 넘기니 대주주 갈등…여천NCC로 본 한국 석화업계 현실 원본보기 아이콘

동북아 에틸렌 가격은 2023년 t당 960달러에서 지난달 920달러로 4% 하락했고 프로필렌은 930달러에서 890달러로 떨어졌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스프레드는 같은 기간 250달러에서 220달러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350달러에서 300달러로, PVC는 330달러에서 290달러로 하락했다.


여천NCC는 국내 에틸렌 생산의 약 14%를 차지한다. 한화 계열사인 한화솔루션은 이를 활용해 연간 LDPE 45만t과 PVC 81만t을, DL케미칼은 HDPE 18만t과 C4R1을 생산한다. 제품별 수익성 악화로 양측 모두 협상에서 양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DL그룹은 전날 긴급 이사회를 열고 여천NCC 유상증자에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한화솔루션이 증자 의사를 밝힌 지 사흘 만이다. 다만 DL케미칼은 "경영 효율화와 구조 개선이 전제돼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여천NCC는 1999년 한화석유화학(현 한화솔루션)과 대림산업(현 DL케미칼)이 각각 지분 50%를 출자해 설립했다. 불황기마다 50대 50 구조가 의사결정 지연과 경영권 갈등을 불러왔으며, 2022년부터 적자가 누적돼 올해는 여수 3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