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에 7월 CPI 발표
예상 부합시 금리 인하 주장 힘 받을 듯
7월 PPI, 소매판매는 14~15일 발표
中 반도체 수출 허가 보도에 엔비디아 ↓·AMD ↑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11일(현지시간) 장 초반 보합권에서 혼조세다. 투자자들은 지난 주 랠리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가며 이번 주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대기하고 있다.
이날 뉴욕 주식 시장에서 오전 10시13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5.82포인트(0.08%) 내린 4만4139.79를 기록 중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5.11포인트(0.08%) 오른 6394.5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7.74포인트(0.13%) 상승한 2만1477.76에 거래 중이다.
종목별로는 엔비디아가 0.3% 내리고, AMD가 1.3% 오르고 있다. 전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두 회사가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허가를 받는 조건으로 현지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는데 이후 두 회사 주가는 엇갈린 흐름을 보는 모습이다. 인텔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사임을 압박한 립부 탄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란 소식에 4.51% 급등세다. 탄 CEO는 중국 연루 의혹을 해명하고 미국에대한 인텔의 기여를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슬라는 3.64%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애플은 0.93% 하락 중이다.
투자자들의 시선은 12일 발표될 7월 CPI에 집중되고 있다. 시장 전망에 따르면 지난달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해 6월(2.7%)보다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3.0% 상승해 6월(2.9%)을 소폭 웃돌 전망이다. 최근 고용 둔화 조짐 속에 시장은 이를 토대로 연내 금리 인하 폭을 가늠할 전망이다.
금리 선물 시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가능성을 현재 86.5% 반영하고 있다. 연내 총 0.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3.8%, 0.7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2.8%다.
이번 주에는 다른 경제 지표도 발표된다. 14일 공개될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해 6월(0%)보다 오름폭이 커질 전망이다. 15일 나오는 7월 소매판매는 0.5% 늘어 6월(0.6%)보다 증가율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의 제이 우즈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가장 중요한 것은 CPI 지표"라며 "이 수치가 통화정책에 확실히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시장은 최근 랠리로 인한 평가가치 상승, 관세 여파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추가 상승 여력을 시험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저점 이후 급등한 미국 주식이 고평가 됐다고 보는 펀드 매니저 비율이 91%에 달해 200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즈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시장이 다른 어떤 시기보다 소화 단계에 더 가까워질 것"이라며 "앞으로 횡보세가 나타나더라도 나쁜 현상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미 국채 금리는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bp(1bp=0.01%포인트) 내린 4.27%,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일 보다 1bp 오른 3.76%를 기록 중이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