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AMD, 中 수출 재개 조건으로
매출 15% 美 정부에 납부하는 계약 체결
HBM 공급사인 삼성·SK 물량 증대 기대
고객사로부터 가격 하락 압박 우려 상존
장기적으로는 '조건부 협상' 악용 우려도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에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수출하기 위해 중국에서 벌어들인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불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단기적으로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확대를 기대해볼 수 있지만, 업계에선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는 기류가 읽힌다. 엔비디아 등이 '15% 납부' 금액을 충당하기 위해 가격 하락을 압박할 수 있는 데다, 향후 미국 정부가 한국 반도체 기업과의 협상에서 이런 '전례'를 바탕으로 유사한 조건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中 수출 재개…"HBM 공급 증대"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AMD는 AI 칩의 중국 수출 허가를 보장받는 조건으로, 미국 정부에 대중(對中) 반도체 판매 수익의 15%를 납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엔비디아는 중국 수출용 H20 칩, AMD는 MI308 칩의 판매 수익 15%를 지불해야 한다. 두 제품은 당초 미국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성능을 낮춘 모델이었지만, 올해 4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판매가 중단됐다. 엔비디아는 H20 칩을 팔지 못해 55억달러(약 8조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
이번 합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해온 '미국 내 생산 압박' 기조와 맞물려 있다. 다만 관세 면제나 수출 허가와 같은 내용이 특정한 '재정 기여' 조건과 결합된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AI 산업 발전으로 연산 수요가 폭증하는 시기인 만큼 중국은 양사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재정 지원을 등에 업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연구기관 등의 구매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 매출 15% 납부'라는 조건이 수익성을 일부 제한하겠지만, 엔비디아 등은 중국 시장에 대한 접근권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당 제안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한국 기업들에 이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중 AI 칩 수출 재개는 두 기업에 HBM3 등을 공급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주문 확대'를 의미한다. 특히 삼성전자는 5세대 HBM3E가 엔비디아 퀄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어 중저가 HBM3 공급이라도 절실하다. 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놓친 상황에서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로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평가다.
'가격 하락' 압박…美, 조건부 거래 들이미나
그러나 엔비디아 등 고객사가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 위해 공급사에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HBM의 경우 통상 고객사와 공급사가 협상을 통해 미리 가격과 물량을 결정한다"며 "15% 납부 조건에 따라 HBM3 가격을 더 낮추라고 압박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했다. 공급량이 늘어나도 수익성은 악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업의 요구를 수용하는 동시에 재정을 챙기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했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이번 딜이 공급망의 불확실성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면서 기술과 시장이 정치적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신호로 읽힐 수 있다.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이를 '무역 차별'로 해석하고 대응에 나설 경우 기업들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나아가 이번 합의가 한국 반도체 기업이나 부품사 등에 '나쁜 전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개별 기업과의 협상에서 '수익 환수'라는 조건을 내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상대로도 대중 수출을 제어하기 위해 재정적 기여를 요구하거나 미국으로의 기술 이전 등을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거론된다.
반도체 업계에선 엔비디아 등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협상 결과를 외국 사례로만 치부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와 같은 전략 물자를 '정치적 딜'의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메시지를 내보인 셈"이라며 "조건부 거래를 새로운 협상 방식으로 활용할 경우에 대비해 협상력을 확보할 방안과 시장 다변화 전략을 계속 병행해나갈 필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