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간 주변 11채 주택 사들여
주택 매입에만 1억 달러 넘게 지출
매입 후 건물 철거 후 8년 간 공사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메타) 최고경영자(CEO)가 거주지역에서 14년간 주택을 대거 매입·개조하며 이웃들에게 민폐를 끼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간) 연합뉴스는 뉴욕타임스(NYT)를 인용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의 부유층 거주지역인 크레센트 파크 주민들의 삶은 저커버그가 이사를 온 뒤 크게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저커버그는 자신이 거주하는 주택 이외에도 근처의 주택들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변호사와 의사, 인근 스탠퍼드대 교수 등 주민들에게 최대 1450만 달러(약 201억 원)라는 거액을 제시했다. 시세 두세배에 달하는 제안에 일부 주민들은 저커버그에게 집을 팔고 이 지역을 떠났다. 14년간 저커버그는 이 같은 방식으로 11채의 주택을 사들이는데 1억1000만 달러(약 1528억 원)를 썼다.
주택을 매입하자 저커버그는 이 건물들을 철거하며 '왕국' 건설에 나선다. 대형 중앙 정원을 조성했고, 작은 손님용 별채와 함께 분수와 피클 볼 코트, 와인 저장고를 설치했다. 높은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에는 2m 높이로 제작된 저커버그의 부인 프리실라 챈의 동상도 세워졌다. 주택 지하에는 650㎡ 넓이의 대형 지하공간도 건설됐다. 이와 함께 주택 한 곳은 저커버그의 자녀 등을 위한 사립학교로 만들었다. 이 지역에서 사립학교를 운영하는 것은 시 조례 위반이다. 그러나 저커버그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NYT "각종 법령 위반" …저커버그 측 "보안은 필수, 주민 불편 최소화 노력"
주택을 건설하는 과정에서도 잡음이 나온다. 앞서 저커버그는 2016년 주택 4채를 철거하고 지하공간을 넓힌 소형주택을 건설하겠다는 내용의 신청을 시청에 제출했다. 건축심의위원회는 저커버그의 신청을 반려했다. 그러나 저커버그는 이를 무시한 채 공사에 착수했다. 주택 4채를 한꺼번에 철거하는 것은 시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3채 미만으로 공사를 나눠 추진한다면 승인 없이도 가능하다는 조례의 허점을 파고든 것이다. 공사는 8년이나 이어졌다. 공사 과정에서도 인근 주민들은 적지 않은 불편을 겪었다.
진입로를 마음대로 통제하거나, 건설 장비와 자재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주민들의 자동차가 훼손되는 사고도 발생했다. 인부들이 이웃집 앞에 차를 세우거나, 근처에서 식사하는 일도 잦았다. 저커버그 부부가 개최하는 각종 파티도 이웃에겐 고통이 됐다. 파티가 열릴 때면 저커버그 주택 앞은 손님들의 차량으로 붐비고, 밤에도 시끄러운 음악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저커버그의 저택에서 소음이 흘러나온다고 신고해도 경찰이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주민들은 호소했다. 오히려 경찰은 저커버그의 파티나 각종 행사 때면 경찰을 주변에 배치해 행사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음이 문제가 될 경우 저커버그는 이웃들에게 와인이나 초콜릿 등 선물을 보내는 경우도 있었다.
나아가 불만을 토로하는 이웃에게 소음 차단 헤드폰을 보낸 사례도 있었다. 이와 함께 저커버그는 이웃 주택의 정원을 향해 감시 카메라도 설치해 마찰을 빚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한 주민은 "저커버그 측에 '나도 당신 집을 향해 카메라를 설치하겠다'고 항의하고 나서야 카메라가 철거됐다"고 말했다. 또한 저커버그의 경호팀은 차량에서 인근을 지나가는 주민들을 촬영하거나, 검문까지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논ㄹ나에 대해 저커버그 측은 "메타의 CEO이자 억만장자인 저커버그는 상당한 위협에 노출된 인물이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다"며 "저커버그 부부는 이웃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